AD
[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기후변화를 사기극이라고 주장하며 이에 대한 대응 노력을 깎아내립니다.
그러나 과학계는 인간활동이 지구 온난화의 주된 원인이라는 명확한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왜 기후변화를 부정할까요.
권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8월 미국과 러시아의 정상회담을 앞둔 알래스카에 홍수 대피령이 내려졌습니다.
기후변화로 알래스카를 포함한 북극에서는 다른 곳보다 두 배 빠르게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빙하가 녹아내려 대규모 홍수가 반복됩니다.
[클리트 괴츠 / 미 육군공병단 태평양사령부 사령관 : 이 강을 따라 엄청난 양의 물이 쏟아져 내리는 걸 상상해 보세요. 초당 약 6만 입방피트(약 1,700㎥)로, 올림픽 규격 수영장을 2초 만에 채울 수 있는 양입니다.]
캘리포니아주 시에라 네바다 산맥 빙하가 2만 년 만에 처음으로 녹아내리고 있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됐습니다.
요세미티 국립공원도 해당됩니다.
미국 빙하가 기후변화로 사라지고 있는데도 트럼프는 기후변화를 부정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이건 최악의 사기극입니다. 기후 변화는 무슨 일이 일어나든 당신도 그 일에 연루돼 있어요. 더 이상 지구 온난화도, 더 이상 지구 냉각도 없을 겁니다.]
미국 우선주의를 기반으로 한 경제적 이익과 지지층 결집에만 관심이 있는 트럼프에게 과학적 근거는 의미가 없습니다.
트럼프는 전통적인 화석연료 산업을 지지하는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규제는 여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핵심 지지층인 러스트 벨트 백인 노동자를 결집하기 위해 기후 변화 협약이 미국 내 제조업 일자리를 위협한다고 주장합니다.
심지어 "날씨가 추운데 지구온난화가 웬 말이냐"며 과학적 데이터를 무시하고 개인적 경험과 감정에 의존합니다.
그러나 과학계의 입장은 명확합니다.
[마티아스 후스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빙하학자 : 기온이 상승하고 해빙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겨울철 적설량 변동은 개별 연도의 상황을 바꿀 수 있지만, 이 추세는 분명히 온난화에 의해 주도되고 있습니다.]
지구는 최근 10년 동안 계속 뜨거워지고 있고, 이런 기후 변화가 인간활동 때문이라는 사실은 과학계에서는 종결된 논쟁입니다.
YTN 권영희입니다.
영상편집 : 한경희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기후변화를 사기극이라고 주장하며 이에 대한 대응 노력을 깎아내립니다.
그러나 과학계는 인간활동이 지구 온난화의 주된 원인이라는 명확한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왜 기후변화를 부정할까요.
권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8월 미국과 러시아의 정상회담을 앞둔 알래스카에 홍수 대피령이 내려졌습니다.
기후변화로 알래스카를 포함한 북극에서는 다른 곳보다 두 배 빠르게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빙하가 녹아내려 대규모 홍수가 반복됩니다.
[클리트 괴츠 / 미 육군공병단 태평양사령부 사령관 : 이 강을 따라 엄청난 양의 물이 쏟아져 내리는 걸 상상해 보세요. 초당 약 6만 입방피트(약 1,700㎥)로, 올림픽 규격 수영장을 2초 만에 채울 수 있는 양입니다.]
캘리포니아주 시에라 네바다 산맥 빙하가 2만 년 만에 처음으로 녹아내리고 있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됐습니다.
요세미티 국립공원도 해당됩니다.
미국 빙하가 기후변화로 사라지고 있는데도 트럼프는 기후변화를 부정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이건 최악의 사기극입니다. 기후 변화는 무슨 일이 일어나든 당신도 그 일에 연루돼 있어요. 더 이상 지구 온난화도, 더 이상 지구 냉각도 없을 겁니다.]
미국 우선주의를 기반으로 한 경제적 이익과 지지층 결집에만 관심이 있는 트럼프에게 과학적 근거는 의미가 없습니다.
트럼프는 전통적인 화석연료 산업을 지지하는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규제는 여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핵심 지지층인 러스트 벨트 백인 노동자를 결집하기 위해 기후 변화 협약이 미국 내 제조업 일자리를 위협한다고 주장합니다.
심지어 "날씨가 추운데 지구온난화가 웬 말이냐"며 과학적 데이터를 무시하고 개인적 경험과 감정에 의존합니다.
그러나 과학계의 입장은 명확합니다.
[마티아스 후스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빙하학자 : 기온이 상승하고 해빙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겨울철 적설량 변동은 개별 연도의 상황을 바꿀 수 있지만, 이 추세는 분명히 온난화에 의해 주도되고 있습니다.]
지구는 최근 10년 동안 계속 뜨거워지고 있고, 이런 기후 변화가 인간활동 때문이라는 사실은 과학계에서는 종결된 논쟁입니다.
YTN 권영희입니다.
영상편집 : 한경희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