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지난 주말 미·중 양국이 상당한 소통을 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현지 시간 13일 폭스 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상당한 수준으로 긴장을 완화시켰다"며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회담이 이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한 100% 추가 관세가 11월 1일 전에는 발효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의 이런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관세 부과 시점 전까지 양국이 대화에서 진전을 이루느냐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 주말 중국과 상당한 소통이 있었다며 미국과 중국의 협상 파트너들이 여러 차례 실무급 회의를 열게 될 것이라고 말해 이번 주 세계은행·국제통화기금 연차총회를 계기로 양측 실무진의 만남을 예고했습니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대해서는 "중국 대 전 세계의 문제"라며 "중국은 자유 세계 전체의 공급망과 산업 기반을 향해 바주카포를 겨눈 것이며, 우리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중국이 희토류 문제 논의에 열려 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만약 중국이 그렇지 않다면, 중국의 희토류 통제 조치와 동등하거나 더 공격적인 수준의 대응에 나설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YTN 홍상희 (sa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베선트 장관은 현지 시간 13일 폭스 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상당한 수준으로 긴장을 완화시켰다"며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회담이 이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한 100% 추가 관세가 11월 1일 전에는 발효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의 이런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관세 부과 시점 전까지 양국이 대화에서 진전을 이루느냐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 주말 중국과 상당한 소통이 있었다며 미국과 중국의 협상 파트너들이 여러 차례 실무급 회의를 열게 될 것이라고 말해 이번 주 세계은행·국제통화기금 연차총회를 계기로 양측 실무진의 만남을 예고했습니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대해서는 "중국 대 전 세계의 문제"라며 "중국은 자유 세계 전체의 공급망과 산업 기반을 향해 바주카포를 겨눈 것이며, 우리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중국이 희토류 문제 논의에 열려 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만약 중국이 그렇지 않다면, 중국의 희토류 통제 조치와 동등하거나 더 공격적인 수준의 대응에 나설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YTN 홍상희 (sa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