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달 말 열리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서 자신이 주재하는 태국-캄보디아 평화협정 서명 행사를 마련하라고 아세안 측에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노벨평화상 수상에 집념을 보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피스메이커'로서 자신의 위상을 국제적으로 과시하기 위해 이런 이벤트를 만들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정치 전문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백악관은 오는 26∼28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 아세안 정상회의에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하는 조건으로 태국-캄보디아 평화협정 서명식 주재를 요구했다고 익명의 소식통 3명이 전했습니다.
백악관은 또 서명식에 중국 정부 관리들이 참석하지 못하게 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도 트럼프 대통령이 정상회의와 별도로 평화협정 서명식 개최를 요구했다고 외교 소식통 4명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서명식이 성사되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월 하순 43명의 사망자를 낳은 양국의 무력 충돌을 끝내는 데 자신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주장을 홍보할 기회를 갖게 됩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 협상 중단을 지렛대로 양국에 휴전을 압박했습니다.
캄보디아 정부도 지난 8월 트럼프 대통령의 중재로 휴전이 성사됐다면서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했습니다.
하지만 태국-캄보디아는 아세안 의장국 말레이시아가 주도한 중재로 7월 말 휴전한 데 이어 8월 초순 지속적인 휴전에 합의하는 의사록에 서명했습니다.
사실상 휴전협정이 체결된 마당에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주인공인 '사진 찍기'용 행사를 다시 하자고 요구하는 셈입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 측 소식통은 "(관련) 논의가 진행 중이지만, 말레이시아 정부는 어려운 위치에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아세안 측 소식통은 "(서명식이) 잠재적으로 성사될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면서 "태국이 동의할 수 있는지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이런 보도에 대해 한 백악관 고위 관리는 "대통령이 평화협정 협상을 하고 있다"면서도 "이는 정상회의 참석 조건으로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태국-캄보디아 평화협정 서명식은 오는 10일 발표 예정인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 선정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들어 전 세계에서 7개 전쟁이 자신의 평화 중재로 종식됐다고 주장하면서 노벨평화상 수상 의지를 거듭 피력해왔습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노벨평화상 수상에 집념을 보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피스메이커'로서 자신의 위상을 국제적으로 과시하기 위해 이런 이벤트를 만들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정치 전문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백악관은 오는 26∼28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 아세안 정상회의에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하는 조건으로 태국-캄보디아 평화협정 서명식 주재를 요구했다고 익명의 소식통 3명이 전했습니다.
백악관은 또 서명식에 중국 정부 관리들이 참석하지 못하게 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도 트럼프 대통령이 정상회의와 별도로 평화협정 서명식 개최를 요구했다고 외교 소식통 4명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서명식이 성사되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월 하순 43명의 사망자를 낳은 양국의 무력 충돌을 끝내는 데 자신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주장을 홍보할 기회를 갖게 됩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 협상 중단을 지렛대로 양국에 휴전을 압박했습니다.
캄보디아 정부도 지난 8월 트럼프 대통령의 중재로 휴전이 성사됐다면서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했습니다.
하지만 태국-캄보디아는 아세안 의장국 말레이시아가 주도한 중재로 7월 말 휴전한 데 이어 8월 초순 지속적인 휴전에 합의하는 의사록에 서명했습니다.
사실상 휴전협정이 체결된 마당에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주인공인 '사진 찍기'용 행사를 다시 하자고 요구하는 셈입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 측 소식통은 "(관련) 논의가 진행 중이지만, 말레이시아 정부는 어려운 위치에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아세안 측 소식통은 "(서명식이) 잠재적으로 성사될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면서 "태국이 동의할 수 있는지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이런 보도에 대해 한 백악관 고위 관리는 "대통령이 평화협정 협상을 하고 있다"면서도 "이는 정상회의 참석 조건으로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태국-캄보디아 평화협정 서명식은 오는 10일 발표 예정인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 선정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들어 전 세계에서 7개 전쟁이 자신의 평화 중재로 종식됐다고 주장하면서 노벨평화상 수상 의지를 거듭 피력해왔습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