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러 원유 수입국 표적"...중국·인도 등 3자 제재 경고

G7 "러 원유 수입국 표적"...중국·인도 등 3자 제재 경고

2025.10.02. 오전 08:4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미국, 영국, 캐나다 등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들이 러시아의 전쟁자금 차단을 위해 러시아산 원유 수입국을 제재할 가능성을 경고하고 나섰습니다.

G7 재무장관들은 현지시간 1일 화상 회의 후 공개한 공동 성명에서 "우크라이나에 전쟁을 끝내고 우크라이나의 지속적인 방어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대러 압박을 강화하는 공동 조치를 취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재무장관들은 "지금이 러시아의 주 수입원인 석유 수출에 대한 압박을 극대화할 때"라며 "러시아산 석유 구매를 지속해서 늘리는 국가와 우회 수출을 조장하는 국가를 표적으로 삼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사실상 러시아산 원유를 대량으로 사들이고 있는 중국과 인도를 겨냥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중국과 인도는 러시아가 2022년 2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뒤 서방의 제재를 받게 된 상황에서 러시아산 원유 가격이 떨어지자 수입량을 늘려왔습니다.

G7은 러시아로 흘러 들어가는 수익을 차단하려면 관세 부과와 수출입 차단을 비롯한 무역 조치가 중요하다는 데 동의하고, 경제·금융 조치를 통해 러시아를 압박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해 "러시아산 석유로 만든 정제 제품에 대한 제재를 포함해 러시아의 전쟁 자금 조달을 돕는 국가와 단체에 대한 무역 조치와 기타 제한도 중대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조치도 늘리기로 했습니다.

특히 러시아의 동결 자산을 우크라이나 지원에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한다고 밝혔습니다.

G7 재무장관들은 "우크라이나의 자금 수요를 해결하고 러시아가 시간을 끌 수 없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선택지를 개발하고 있다"면서, 선택지 중에는 "우리의 관할권에 동결된 러시아국유자산(RSA) 전체 가치를 공조된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도 포함된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G7 회원국 내에는 러시아 중앙은행 자산 약 3천억 유로(490조 원)가 동결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이 동결 자산에 나오는 수익금만 우크라이나 지원에 썼지만, 앞으로는 원금도 압류해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 셈입니다.

다만 재무장관들은 이 조치가 각국의 법적 체계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들은 러시아의 나토 영공 침범과 민간인에 대한 공격 증가, 우크라이나 내 정부·외교공관 파괴 등에 대해 용납할 수 없는 행위이며 평화 중재 노력을 훼손하는 일이라고 규탄했습니다.

G7 재무장관들은 오는 1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IMF·세계은행의 연차총회에서 다시 만나 관련 논의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YTN 박영진 (yj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