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영향 속에서도 지난달 미국에서 좋은 실적을 이어갔습니다.
현대차 미국법인은 9월 현지 판매량이 7만 천여 대로, 1년 전보다 14%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모델별로는 엘란트라 패밀리와 싼타페 하이브리드, 전기차 아이오닉5가 동월 최다 판매 기록을 세웠고, 전기차 판매는 1년 전보다 153% 급증해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소매 판매는 5만 7천여 대로 1년 전보다 7% 늘었고, 특히 전기차를 포함한 친환경 차가 38%를 차지했습니다.
3분기 전체 판매량은 23만 9천여 대로, 1년 전보다 13% 늘어 역대 3분기 최고 실적을 올렸습니다.
기아 미국 법인 역시 지난 9월 현지에서 6만 5천여 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11% 증가한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현대차는 지난달 말 연방 정부의 전기차 세액 공제(7,500달러) 혜택이 종료된 가운데 전기차 아이오닉5 2026년식 모델의 경우 가격을 최대 9,800달러(약 1,375만 원) 내리고, 2025년 모델은 이달 7,500달러의 현금 인센티브를 제공했습니다.
이런 가격 정책에 대해 "현대차의 재무 건전성과 시장 불확실성 극복 능력을 입증한다"며 "미국 현지 생산·판매량을 늘리면서 시장점유율 확대에 집중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기아 역시 올해 3분기 판매량이 21만 9천여 대로, 역대 최고 분기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모델별로는 K5(85%↑)와 카니발(48%↑) 등 6개 주력 모델이 꾸준히 잘 팔리며 실적을 견인했습니다.
차종별로는 친환경 전동화 모델(26%↑)과 세단(19%↑), SUV(6%↑) 모두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기아 미국법인 영업 담당 부사장 에릭 왓슨은 "올해 마지막 분기에 접어든 현재 기아가 연간 판매 신기록과 함께 역대 최대 시장점유율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특히 "전동화 모델과 세단의 두 자릿수 성장세는 우수한 상품성과 다양한 모델 라인업의 경쟁력을 입증하는 성과"라고 말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현대차 미국법인은 9월 현지 판매량이 7만 천여 대로, 1년 전보다 14%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모델별로는 엘란트라 패밀리와 싼타페 하이브리드, 전기차 아이오닉5가 동월 최다 판매 기록을 세웠고, 전기차 판매는 1년 전보다 153% 급증해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소매 판매는 5만 7천여 대로 1년 전보다 7% 늘었고, 특히 전기차를 포함한 친환경 차가 38%를 차지했습니다.
3분기 전체 판매량은 23만 9천여 대로, 1년 전보다 13% 늘어 역대 3분기 최고 실적을 올렸습니다.
기아 미국 법인 역시 지난 9월 현지에서 6만 5천여 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11% 증가한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현대차는 지난달 말 연방 정부의 전기차 세액 공제(7,500달러) 혜택이 종료된 가운데 전기차 아이오닉5 2026년식 모델의 경우 가격을 최대 9,800달러(약 1,375만 원) 내리고, 2025년 모델은 이달 7,500달러의 현금 인센티브를 제공했습니다.
이런 가격 정책에 대해 "현대차의 재무 건전성과 시장 불확실성 극복 능력을 입증한다"며 "미국 현지 생산·판매량을 늘리면서 시장점유율 확대에 집중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기아 역시 올해 3분기 판매량이 21만 9천여 대로, 역대 최고 분기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모델별로는 K5(85%↑)와 카니발(48%↑) 등 6개 주력 모델이 꾸준히 잘 팔리며 실적을 견인했습니다.
차종별로는 친환경 전동화 모델(26%↑)과 세단(19%↑), SUV(6%↑) 모두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기아 미국법인 영업 담당 부사장 에릭 왓슨은 "올해 마지막 분기에 접어든 현재 기아가 연간 판매 신기록과 함께 역대 최대 시장점유율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특히 "전동화 모델과 세단의 두 자릿수 성장세는 우수한 상품성과 다양한 모델 라인업의 경쟁력을 입증하는 성과"라고 말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