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멕시코 정부가 자국산업 보호를 명목으로 자유무역협정, FTA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에 수입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멕시코를 중남미 최대 교역국으로 둔 한국산 제품 역시 품목에 따라 관세 부과 대상이 될 전망입니다.
현지 시간 10일 멕시코 정부의 경제부 장관 연설문 속기록 등에 따르면 멕시코 정부는 17개 전략적 분야에서 1,463개 품목을 선정해 세계무역기구 규정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최대치의 관세를 차등 부과할 방침입니다.
17개 전략적 분야에는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철강과 알루미늄, 플라스틱, 가전, 섬유, 가구 등이 포함돼 있습니다.
이들 분야에 속하는 1,463개 품목에 대해서는 현재 최고 35%대인 관세율을 최대 50%까지 상향할 예정이라고 멕시코 정부는 밝혔습니다.
이런 조치는 멕시코 전체 수입품의 8.6%, 금액으로는 520억 달러, 약 72조 원에 이르는 수입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현지 당국은 추산했습니다.
멕시코 정부는 특히 자동차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수입 경차에 50%의 관세를 매긴다고 설명했습니다.
관세 부과 대상국은 멕시코와 FTA를 체결하지 않은 국가라고 멕시코 정부는 밝혔습니다.
현지에서는 멕시코의 새로운 관세 정책으로 큰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로 한국을 비롯해 중국과 인도, 인도네시아, 러시아, 태국, 튀르키예 등을 꼽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과 멕시코는 교역국 간 가장 기본적 틀인 투자보장협정을 지난 2000년 체결했지만 FTA는 현재 협의가 교착상태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 등 미국 언론은 트럼프 정부가 중국과의 교역 관계를 제한하도록 멕시코를 압박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어 이번 조치는 중국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YTN 이경아 (ka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에 따라 멕시코를 중남미 최대 교역국으로 둔 한국산 제품 역시 품목에 따라 관세 부과 대상이 될 전망입니다.
현지 시간 10일 멕시코 정부의 경제부 장관 연설문 속기록 등에 따르면 멕시코 정부는 17개 전략적 분야에서 1,463개 품목을 선정해 세계무역기구 규정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최대치의 관세를 차등 부과할 방침입니다.
17개 전략적 분야에는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철강과 알루미늄, 플라스틱, 가전, 섬유, 가구 등이 포함돼 있습니다.
이들 분야에 속하는 1,463개 품목에 대해서는 현재 최고 35%대인 관세율을 최대 50%까지 상향할 예정이라고 멕시코 정부는 밝혔습니다.
이런 조치는 멕시코 전체 수입품의 8.6%, 금액으로는 520억 달러, 약 72조 원에 이르는 수입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현지 당국은 추산했습니다.
멕시코 정부는 특히 자동차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수입 경차에 50%의 관세를 매긴다고 설명했습니다.
관세 부과 대상국은 멕시코와 FTA를 체결하지 않은 국가라고 멕시코 정부는 밝혔습니다.
현지에서는 멕시코의 새로운 관세 정책으로 큰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로 한국을 비롯해 중국과 인도, 인도네시아, 러시아, 태국, 튀르키예 등을 꼽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과 멕시코는 교역국 간 가장 기본적 틀인 투자보장협정을 지난 2000년 체결했지만 FTA는 현재 협의가 교착상태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 등 미국 언론은 트럼프 정부가 중국과의 교역 관계를 제한하도록 멕시코를 압박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어 이번 조치는 중국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YTN 이경아 (ka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