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베이징 북한 대사관 본청 리모델링 공사 중
건물 중앙 옥상엔 새로운 석조 장식물도 마련
울타리 바깥 광고판엔 김일성 젊은 시절 사진 걸어
김일성 1954년·1959년 중국 건국일 열병식 참석
건물 중앙 옥상엔 새로운 석조 장식물도 마련
울타리 바깥 광고판엔 김일성 젊은 시절 사진 걸어
김일성 1954년·1959년 중국 건국일 열병식 참석
AD
[앵커]
김정은 위원장의 중국 열병식 참석을 앞두고 베이징에 있는 북한 대사관이 대대적인 보수 공사를 벌이는 장면이 YTN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66년 만에 톈안먼 망루에 오르게 되는 김 위원장, 할아버지 김일성처럼 특별열차를 타고 이동할 것으로 보입니다.
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입니다.
[기자]
베이징 외교가에 자리 잡은 북한 대사관, 본청 외벽에 거푸집을 두르고 공사가 한창입니다.
건물 중앙 옥상 부위엔 못 보던 석조 장식물도 생겼습니다.
원래 북한 깃발 아래 공화국 휘장만 덩그러니 달렸던 곳입니다.
"다음 주 중국의 승전 80주년 열병식 참석차 베이징에 오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맞이하기 위해 새 단장에 나선 거로 보입니다."
울타리 바깥에 마련된 광고판엔 김일성의 젊은 시절 사진이 내걸렸습니다.
1954년과 1959년 당시 김일성 주석이 중국 건국 기념일 열병식에 참석했던 걸 연상케 합니다.
66년 만에 톈안먼 망루에 오르는 김정은 위원장, 할아버지처럼 육로 이동을 선택할 거로 보입니다.
압록강 철교가 내려다보이는 북중 접경 단둥의 호텔들이 강변 쪽 객실 예약 통제에 들어간 겁니다.
[중롄 / 호텔 관계자 : 중국 본토 손님만 받고, 외국인은 받지 않습니다. 단둥의 모든 호텔이 다 그런 것 같아요. 마감일은 9월 4일 이후입니다.]
실제 김정은은 2018년 3월 첫 방중과 2019년 1월 네 번째 방문길에 특별열차로 이동했습니다.
단둥을 거쳐 수도 베이징역에 내린 뒤, 댜오위타이 국빈관에 머물렀습니다.
다만, 2018년 5월과 6월엔 전용기 '참매 1호'를 타고 온 적도 있는 만큼 예단하긴 이릅니다.
[조선중앙TV (2018년 6월) : 김정은 동지께서 리설주 여사와 함께 전용기에서 내리셔서 중국의 당과 정부 간부들과 따뜻한 인사를 나누셨습니다.]
열병식 치러지는 톈안먼 광장엔 임시 관람 좌석 3만7천 개와 대형 화단이 설치됐습니다.
시내 곳곳에 무장 경찰과 감시 요원들이 배치되는 등 삼엄한 경비 속에 긴장이 감돌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
YTN 강정규 (liv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김정은 위원장의 중국 열병식 참석을 앞두고 베이징에 있는 북한 대사관이 대대적인 보수 공사를 벌이는 장면이 YTN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66년 만에 톈안먼 망루에 오르게 되는 김 위원장, 할아버지 김일성처럼 특별열차를 타고 이동할 것으로 보입니다.
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입니다.
[기자]
베이징 외교가에 자리 잡은 북한 대사관, 본청 외벽에 거푸집을 두르고 공사가 한창입니다.
건물 중앙 옥상 부위엔 못 보던 석조 장식물도 생겼습니다.
원래 북한 깃발 아래 공화국 휘장만 덩그러니 달렸던 곳입니다.
"다음 주 중국의 승전 80주년 열병식 참석차 베이징에 오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맞이하기 위해 새 단장에 나선 거로 보입니다."
울타리 바깥에 마련된 광고판엔 김일성의 젊은 시절 사진이 내걸렸습니다.
1954년과 1959년 당시 김일성 주석이 중국 건국 기념일 열병식에 참석했던 걸 연상케 합니다.
66년 만에 톈안먼 망루에 오르는 김정은 위원장, 할아버지처럼 육로 이동을 선택할 거로 보입니다.
압록강 철교가 내려다보이는 북중 접경 단둥의 호텔들이 강변 쪽 객실 예약 통제에 들어간 겁니다.
[중롄 / 호텔 관계자 : 중국 본토 손님만 받고, 외국인은 받지 않습니다. 단둥의 모든 호텔이 다 그런 것 같아요. 마감일은 9월 4일 이후입니다.]
실제 김정은은 2018년 3월 첫 방중과 2019년 1월 네 번째 방문길에 특별열차로 이동했습니다.
단둥을 거쳐 수도 베이징역에 내린 뒤, 댜오위타이 국빈관에 머물렀습니다.
다만, 2018년 5월과 6월엔 전용기 '참매 1호'를 타고 온 적도 있는 만큼 예단하긴 이릅니다.
[조선중앙TV (2018년 6월) : 김정은 동지께서 리설주 여사와 함께 전용기에서 내리셔서 중국의 당과 정부 간부들과 따뜻한 인사를 나누셨습니다.]
열병식 치러지는 톈안먼 광장엔 임시 관람 좌석 3만7천 개와 대형 화단이 설치됐습니다.
시내 곳곳에 무장 경찰과 감시 요원들이 배치되는 등 삼엄한 경비 속에 긴장이 감돌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
YTN 강정규 (liv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