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의 대표적 인재로 수천 명의 목숨을 앗아간 '허리케인 카트리나' 발생 20주년을 앞두고 미 연방재난관리청(FEMA)의 전·현직 직원 180여 명이 현지시간 25일 의회에 경고 서한을 보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재난관리청 폐지 방침을 세우고 예산과 인력을 대폭 감축하고 전문성과 권위가 없는 인사들을 고위직에 임명한 탓에 카트리나 사태를 계기로 보강됐던 재난관리청의 재난 대응 역량이 붕괴할 위기를 맞았고 당시와 같은 인재가 재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이 서한에 36명은 실명으로 서명했고 나머지는 보복을 두려워해 익명으로 참여했다고 전했습니다.
서한을 보낸 직원들은 올해 들어 풀타임 직원 중 3분의 1이 떠났다면서 "정치적 동기에 따른 해고"를 막아달라고 호소했습니다.
2005년 8월 말 루이지애나주와 미시시피주 등을 덮친 허리케인 카트리나는 사망자 천833명을 내고 당시 돈으로 천610억 달러, 약 224조 원 재산피해를 냈습니다.
당시 카트리나가 북상하면서 재난이 예고됐는데도 당시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늑장 대응을 해 인명피해와 재산 피해가 커졌다는 지적이 일어 미국에서 최근 수십 년간 발생한 인재의 대표 사례로 꼽힙니다.
서한 발송자들은 재난관리청을 국토안보부에서 독립된 내각급 행정기관으로 격상해달라고 의회에 요청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변화들이) 제때 이뤄져 허리케인 카트리나와 같은 국가적 재난을 예방하고, 재난관리청 자체가 사실상 해체되는 일을 방지하며, 국민을 저버리는 일을 막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YTN 한상옥 (hans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재난관리청 폐지 방침을 세우고 예산과 인력을 대폭 감축하고 전문성과 권위가 없는 인사들을 고위직에 임명한 탓에 카트리나 사태를 계기로 보강됐던 재난관리청의 재난 대응 역량이 붕괴할 위기를 맞았고 당시와 같은 인재가 재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이 서한에 36명은 실명으로 서명했고 나머지는 보복을 두려워해 익명으로 참여했다고 전했습니다.
서한을 보낸 직원들은 올해 들어 풀타임 직원 중 3분의 1이 떠났다면서 "정치적 동기에 따른 해고"를 막아달라고 호소했습니다.
2005년 8월 말 루이지애나주와 미시시피주 등을 덮친 허리케인 카트리나는 사망자 천833명을 내고 당시 돈으로 천610억 달러, 약 224조 원 재산피해를 냈습니다.
당시 카트리나가 북상하면서 재난이 예고됐는데도 당시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늑장 대응을 해 인명피해와 재산 피해가 커졌다는 지적이 일어 미국에서 최근 수십 년간 발생한 인재의 대표 사례로 꼽힙니다.
서한 발송자들은 재난관리청을 국토안보부에서 독립된 내각급 행정기관으로 격상해달라고 의회에 요청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변화들이) 제때 이뤄져 허리케인 카트리나와 같은 국가적 재난을 예방하고, 재난관리청 자체가 사실상 해체되는 일을 방지하며, 국민을 저버리는 일을 막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YTN 한상옥 (hans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