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압박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관세가 미국 소비자들의 지갑에 타격을 주기 시작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습니다.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메리클 미국 경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CNBC 방송에 출연해 "기존 분석 결과를 고수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특히 "가장 최근 부과된 관세들이 2월에 부과된 초기 관세와 같은 패턴을 따른다면 가을에 이르면 소비자들이 비용 상승분의 3분의 2를 부담할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골드만삭스의 엘시 펭 미국 경제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에서 미국 소비자들은 관세 비용의 22% 흡수했고, 소비자의 관세 비용 부담 비중이 67%로 오를 것이라고 추산했습니다.
지금까지는 관세 부담을 기업들이 부담해왔지만, 앞으로는 소비자에게 부담이 전가될 것이란 이 같은 보고서 내용은 트럼프 대통령의 공개적인 비난을 초래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 소셜에 데이비드 솔로몬 골드만삭스 최고경영자를 향해 "새 이코노미스트를 고용하거나 취미 활동에 집중하고 금융기관 경영에 신경 쓰지 않는 게 나을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관세가 미국에 인플레이션이나 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다는 것이 입증됐다"며 "오히려 엄청난 양의 관세 수입이 재무부 금고로 유입되고 있다"고 적었습니다.
그러면서 "대부분의 경우 소비자는 이 관세를 부담하지 않고 있고, 주로 기업, 정부, 많은 경우 외국이 이 비용을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직접적인 비판에도 불구하고 수석 이코노미스트가 방송에 출연해 자신들의 분석에 문제가 없다고 한 셈입니다.
메리클 이코노미스트는 관세 영향이 수입품 의존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며 "외국과의 경쟁으로부터 보호받는 미국 내 생산 기업이라면 가격을 올리고 혜택을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백악관이나 연방준비제도의 견해처럼 우리도 관세의 물가 영향이 일회성일 것으로 본다"며 "연준에는 물가보다 노동 시장이 지배적인 우려 사항이 될 것으로 본다"라고 평가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메리클 미국 경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CNBC 방송에 출연해 "기존 분석 결과를 고수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특히 "가장 최근 부과된 관세들이 2월에 부과된 초기 관세와 같은 패턴을 따른다면 가을에 이르면 소비자들이 비용 상승분의 3분의 2를 부담할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골드만삭스의 엘시 펭 미국 경제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에서 미국 소비자들은 관세 비용의 22% 흡수했고, 소비자의 관세 비용 부담 비중이 67%로 오를 것이라고 추산했습니다.
지금까지는 관세 부담을 기업들이 부담해왔지만, 앞으로는 소비자에게 부담이 전가될 것이란 이 같은 보고서 내용은 트럼프 대통령의 공개적인 비난을 초래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 소셜에 데이비드 솔로몬 골드만삭스 최고경영자를 향해 "새 이코노미스트를 고용하거나 취미 활동에 집중하고 금융기관 경영에 신경 쓰지 않는 게 나을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관세가 미국에 인플레이션이나 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다는 것이 입증됐다"며 "오히려 엄청난 양의 관세 수입이 재무부 금고로 유입되고 있다"고 적었습니다.
그러면서 "대부분의 경우 소비자는 이 관세를 부담하지 않고 있고, 주로 기업, 정부, 많은 경우 외국이 이 비용을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직접적인 비판에도 불구하고 수석 이코노미스트가 방송에 출연해 자신들의 분석에 문제가 없다고 한 셈입니다.
메리클 이코노미스트는 관세 영향이 수입품 의존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며 "외국과의 경쟁으로부터 보호받는 미국 내 생산 기업이라면 가격을 올리고 혜택을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백악관이나 연방준비제도의 견해처럼 우리도 관세의 물가 영향이 일회성일 것으로 본다"며 "연준에는 물가보다 노동 시장이 지배적인 우려 사항이 될 것으로 본다"라고 평가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