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예산 '칼질'당한 미 공영방송에 시민 후원 쇄도

정부 예산 '칼질'당한 미 공영방송에 시민 후원 쇄도

2025.07.25. 오후 9:2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예산 삭감에 위기를 맞은 미국의 공영방송사에 시민들의 후원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뉴욕타임스(NYT)는 공영언론 관련 기부금 데이터 분석업체 '기여자개발파트너십'(CDP)의 자료를 토대로 최근 3개월 사이 신규 후원자 12만 명이 공영방송국에 연간 기준 2천만 달러(약 280억 원)를 새로 후원했다고 현지시간 24일 보도했습니다.

전체적으로 올해 공영방송에 대한 후원금 규모는 지난해보다 7천만 달러(약 1천억 원) 증가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후원자의 51%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정기성 후원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나, 후원금 증가세가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짚었습니다.

앞서 17일 미 의회는 국제원조 및 공영방송 예산 90억 달러(약 12조5천억 원)를 삭감하는 내용의 예산환수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법안에 따라 공영라디오 NPR과 공영TV PBS에 자금을 지원하는 공영방송공사(CPB)의 2년 치 예산, 11억 달러(약 1조 5천억 원)가 삭감됐습니다.

NPR, PBS 등 미국 공영방송의 '좌편향'을 의심하며 장기간 호시탐탐 예산 삭감을 추진하던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이 이 법안 통과로 그동안의 염원을 이룬 셈입니다.

이에 따라 그동안 정부 예산에 크게 의존하던 NPR, PBS와 그 산하의 지역 공영방송국들이 운영에 큰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PBS는 삭감된 예산 규모가 연간 예산의 20% 정도에 해당한다면서 즉각 신규 채용을 중단하고 비용 절감에 나선다고 밝혔습니다.

NPR 역시 네트워크 산하의 공영 라디오방송들이 채용을 더욱 신중하게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삭감된 예산 규모가 워낙 큰 탓에 후원금만으로 공백을 메우기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지만, 일부 방송국에는 법안 통과 직후부터 후원 액수가 크게 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습니다.



YTN 박영진 (yj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