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러시아와 휴전 협상이 돌파구를 찾지 못한 가운데, 개전 후 처음으로 우크라이나 곳곳에서 대규모 '반 젤렌스키' 시위가 벌어졌습니다.
우크라이나 당국이 정부 고위급 부패를 수사하는 독립적 기관을 단속한 데 이어, 권한을 제한하는 법안이 발효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런던 조수현 특파원입니다.
[기자]
수도 키이우 거리에 수천 명이 집결해 '법안 거부'를 외칩니다.
검찰총장이 국가반부패국과 반부패특별검사실에 더 많은 감독권을 행사할 수 있게 하는 법안이 발효된 데 항의하는 겁니다.
2022년 2월 개전 후 열린 첫 반정부 시위입니다.
시위대는 부패를 멈춰야 한다며 젤렌스키 정부가 전시를 구실로 권력의 중앙집권화를 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또 우크라이나 검찰과 보안국이 반부패국에 대해 너무 광범위하고 일관성 없는 수사를 벌였다고 비판했습니다.
반부패국과 야당은 이번 법안이 독립성을 박탈한다고 반발했고, EU도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니클라스 헤르브스트 / EU 입법자 : 의회 표결 후 대통령이 몇 시간 내에 서명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입니다. 반부패 기관들은 독립적이어야 합니다.]
독일 외무부는 우크라이나 반부패 기관이 최근 개혁 노력에 핵심 역할을 해왔다며 앞으로도 이런 노력의 진전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젤렌스키 대통령과 측근들이 계엄령으로 주어진 막강한 권한을 정부 비판론자들을 억압하고 통제력을 높이는 데 쓴다는 의심이 제기된다고 전했습니다.
'키이우의 실책'이라는 지적이 잇따르자 젤렌스키 대통령은 두 기관과 직접 만나 진화에 나섰습니다.
[루슬란 크라우첸코 / 우크라이나 검찰총장 : 우리는 상황을 논의하고 함께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아무도 그들을(반부패국) 방해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런 가운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대표단은 이스탄불에서 7주 만에 다시 만나 3차 협상을 재개했지만 입장 차가 여전해 접점을 찾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반부패국 통제가 내부 혼란을 키우는 것은 물론, 우크라이나의 유럽연합 가입 문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런던에서 YTN 조수현입니다.
촬영: 유현우
YTN 조수현 (sj10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러시아와 휴전 협상이 돌파구를 찾지 못한 가운데, 개전 후 처음으로 우크라이나 곳곳에서 대규모 '반 젤렌스키' 시위가 벌어졌습니다.
우크라이나 당국이 정부 고위급 부패를 수사하는 독립적 기관을 단속한 데 이어, 권한을 제한하는 법안이 발효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런던 조수현 특파원입니다.
[기자]
수도 키이우 거리에 수천 명이 집결해 '법안 거부'를 외칩니다.
검찰총장이 국가반부패국과 반부패특별검사실에 더 많은 감독권을 행사할 수 있게 하는 법안이 발효된 데 항의하는 겁니다.
2022년 2월 개전 후 열린 첫 반정부 시위입니다.
시위대는 부패를 멈춰야 한다며 젤렌스키 정부가 전시를 구실로 권력의 중앙집권화를 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또 우크라이나 검찰과 보안국이 반부패국에 대해 너무 광범위하고 일관성 없는 수사를 벌였다고 비판했습니다.
반부패국과 야당은 이번 법안이 독립성을 박탈한다고 반발했고, EU도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니클라스 헤르브스트 / EU 입법자 : 의회 표결 후 대통령이 몇 시간 내에 서명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입니다. 반부패 기관들은 독립적이어야 합니다.]
독일 외무부는 우크라이나 반부패 기관이 최근 개혁 노력에 핵심 역할을 해왔다며 앞으로도 이런 노력의 진전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젤렌스키 대통령과 측근들이 계엄령으로 주어진 막강한 권한을 정부 비판론자들을 억압하고 통제력을 높이는 데 쓴다는 의심이 제기된다고 전했습니다.
'키이우의 실책'이라는 지적이 잇따르자 젤렌스키 대통령은 두 기관과 직접 만나 진화에 나섰습니다.
[루슬란 크라우첸코 / 우크라이나 검찰총장 : 우리는 상황을 논의하고 함께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아무도 그들을(반부패국) 방해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런 가운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대표단은 이스탄불에서 7주 만에 다시 만나 3차 협상을 재개했지만 입장 차가 여전해 접점을 찾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반부패국 통제가 내부 혼란을 키우는 것은 물론, 우크라이나의 유럽연합 가입 문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런던에서 YTN 조수현입니다.
촬영: 유현우
YTN 조수현 (sj10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