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이른바 '엡스타인 파일'을 둘러싸고 미국 안에서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과거 제프리 엡스타인에 대한 당국의 수사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거론한 적이 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현지 시각 20일, 과거 엡스타인에게 고용돼 미술품 구매 등의 업무를 했던 마리아 파머가 지난 1996년과 2006년 수사 당국에 증언했다고 설명한 내용을 보도했습니다.
파머는 1996년 뉴욕 경찰과 연방수사국(FBI), 2006년 FBI의 조사에서 각각 트럼프 대통령을 포함해 엡스타인의 주변인에 대해 더 폭넓은 시각을 가져야 한다고 촉구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1995년 엡스타인 사무실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마주친 일을 증언했다고 전했습니다.
파머의 설명에 따르면, 당시 20대이던 그는 엡스타인의 갑작스러운 부름으로 뉴욕 맨해튼에 있는 사무실로 갔다가 트럼프를 만났습니다.
파머는 정장 차림으로 사무실에 온 트럼프가 자신의 다리를 쳐다보자 무서워졌고, 그때 방으로 들어온 엡스타인이 "이 사람은 당신을 위해 여기 온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밝혔습니다.
그 뒤 엡스타인과 트럼프는 방을 떠났고, 트럼프가 파머에 '16살인 줄 알았다'고 말하는 내용이 들려왔다고 설명했습니다.
파머는 트럼프와의 만남 뒤 다른 우려할만한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며 그가 미성년자나 여성과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것도 보지 못했다고 덧붙였습니다.
NYT는 파머의 증언이 "지금까지 공개되지 않았던 수사 기록에 어떤 내용이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자아낸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에게는 민감하거나 정치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자료가 어떤 식으로든 사건 파일에 포함됐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짚었습니다.
그동안 수사당국은 엡스타인의 불법 행위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의 혐의를 지목한 적이 없으며 수사 대상에 올린 적도 없습니다.
스티븐 청 백악관 공보국장은 "대통령은 엡스타인의 사무실에 간 적이 없다"며 파머의 증언을 반박했습니다.
그러면서 "팩트는 대통령이 그를 불쾌한 사람으로 여겨 그의 클럽에서 쫓아냈다는 것"이라며 그와 엡스타인의 관계가 오래전 끝났다고 강조했습니다.
헤지펀드 매니저 출신의 억만장자 엡스타인은 자택과 별장 등에서 미성년자 수십 명을 비롯해 여성 다수를 상대로 성범죄를 저질렀다는 의혹을 받았습니다.
이후 성범죄 혐의로 체포된 뒤 2019년 감옥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하지만 엡스타인으로부터 성 접대를 받은 정관계 인사들의 리스트가 존재한다거나, 사인이 자살이 아닌 타살이라는 등의 음모론이 끊임없이 나왔고, 트럼프 대통령의 '마가'(MAGA) 지지층에서도 큰 관심을 가졌습니다.
하지만 최근 법무부와 FBI가 엡스타인의 리스트가 있었다는 증거는 없으며 사망 원인도 자살이라고 재확인한 조사 결과를 공개하자 마가 진영에선 반발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현지 시각 20일, 과거 엡스타인에게 고용돼 미술품 구매 등의 업무를 했던 마리아 파머가 지난 1996년과 2006년 수사 당국에 증언했다고 설명한 내용을 보도했습니다.
파머는 1996년 뉴욕 경찰과 연방수사국(FBI), 2006년 FBI의 조사에서 각각 트럼프 대통령을 포함해 엡스타인의 주변인에 대해 더 폭넓은 시각을 가져야 한다고 촉구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1995년 엡스타인 사무실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마주친 일을 증언했다고 전했습니다.
파머의 설명에 따르면, 당시 20대이던 그는 엡스타인의 갑작스러운 부름으로 뉴욕 맨해튼에 있는 사무실로 갔다가 트럼프를 만났습니다.
파머는 정장 차림으로 사무실에 온 트럼프가 자신의 다리를 쳐다보자 무서워졌고, 그때 방으로 들어온 엡스타인이 "이 사람은 당신을 위해 여기 온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밝혔습니다.
그 뒤 엡스타인과 트럼프는 방을 떠났고, 트럼프가 파머에 '16살인 줄 알았다'고 말하는 내용이 들려왔다고 설명했습니다.
파머는 트럼프와의 만남 뒤 다른 우려할만한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며 그가 미성년자나 여성과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것도 보지 못했다고 덧붙였습니다.
NYT는 파머의 증언이 "지금까지 공개되지 않았던 수사 기록에 어떤 내용이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자아낸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에게는 민감하거나 정치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자료가 어떤 식으로든 사건 파일에 포함됐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짚었습니다.
그동안 수사당국은 엡스타인의 불법 행위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의 혐의를 지목한 적이 없으며 수사 대상에 올린 적도 없습니다.
스티븐 청 백악관 공보국장은 "대통령은 엡스타인의 사무실에 간 적이 없다"며 파머의 증언을 반박했습니다.
그러면서 "팩트는 대통령이 그를 불쾌한 사람으로 여겨 그의 클럽에서 쫓아냈다는 것"이라며 그와 엡스타인의 관계가 오래전 끝났다고 강조했습니다.
헤지펀드 매니저 출신의 억만장자 엡스타인은 자택과 별장 등에서 미성년자 수십 명을 비롯해 여성 다수를 상대로 성범죄를 저질렀다는 의혹을 받았습니다.
이후 성범죄 혐의로 체포된 뒤 2019년 감옥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하지만 엡스타인으로부터 성 접대를 받은 정관계 인사들의 리스트가 존재한다거나, 사인이 자살이 아닌 타살이라는 등의 음모론이 끊임없이 나왔고, 트럼프 대통령의 '마가'(MAGA) 지지층에서도 큰 관심을 가졌습니다.
하지만 최근 법무부와 FBI가 엡스타인의 리스트가 있었다는 증거는 없으며 사망 원인도 자살이라고 재확인한 조사 결과를 공개하자 마가 진영에선 반발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