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중국을 방문한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중국 관영매체에 출연해 "중국의 AI 시장은 엔비디아가 있든 없든 발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전날 방영된 중국중앙TV(CCTV)의 대담 프로그램인 면대면(面對面)에서 "엔비디아가 여기(중국)에 없다면, 화웨이는 반드시 자체 해결 방안을 찾을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제3회 중국국제공급망촉진박람회 참석차 중국 베이징을 찾은 그는 "엔비디아의 부재에도 중국 본토의 혁신 기업들이나 화웨이와 같은 반도체 업체들이 시장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는 인류의 혁신 능력에 대한 나의 확신"이라면서 "뜻이 있는 자는 끝내 성공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황 CEO의 발언은 중국 AI 기업의 잠재력을 높게 평가하는 동시에 미국 정부의 수출 통제로 중국 시장에서 엔비디아가 소외될 경우 결국 입게 될 타격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미중 기술 경쟁 갈등이 심화하는 와중에 올해만 세 번째 중국을 방문한 그는 자사 첨단 제품을 중국에 판매하지 못하게 하는 미국 정부의 기술 통제 정책에 공개적으로 반대 입장을 밝혀왔습니다.
이번에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을 직접 만나 설득한 끝에 대(對)중국 H20 칩 수출이 다시 가능해졌지만, 미국 여당인 공화당에서 중국 견제 목소리를 주도해온 한 하원의원이 이에 대한 반대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하는 등 수출에 대한 불안정성은 여전한 상황입니다.
또 H20보다 고급 사양 칩, 즉 엔비디아의 최첨단 모델에 대한 중국 수출은 여전히 원천적으로 차단된 상황입니다.
CCTV 대담 프로그램은 약 40분간 방영됐으며 그는 내내 중국의 공급망과 AI 발전 성과를 극찬했습니다.
황 CEO는 "중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공급망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다른 나라의 공급망까지 도와주고 있다"면서 "AI, 소프트웨어, 기계 시스템의 통합 능력은 중국에서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 되고 있고, 이는 중국에 있어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화웨이에 대해 회사 규모와 인력 규모, 기술력이 모두 크고 뛰어난 비범한 기업이라고 평가했으며, 딥시크의 R1 모델은 H20 칩의 구조적 장점을 최대한 살리는 방식으로 설계해 세계적 수준의 성과를 이뤄냈다는 점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이번 방중 기간에 미국 정부의 H20 칩 판매 허용 소식을 직접 전하고, 중국 전통의상을 입고 박람회 개막식에 등장해 중국어로 축사하고, 내외신 언론들과 100분에 가까운 기자회견을 소화하는 등의 행보로 화제를 일으켰습니다.
글로벌 기업 중 처음으로 시총 4조 달러 돌파 기록을 세운 그는 인터뷰 말미 "나는 회의 때 '우리 회사는 파산까지 겨우 30일 남았다'고 얘기하곤 한다"고 말했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그는 전날 방영된 중국중앙TV(CCTV)의 대담 프로그램인 면대면(面對面)에서 "엔비디아가 여기(중국)에 없다면, 화웨이는 반드시 자체 해결 방안을 찾을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제3회 중국국제공급망촉진박람회 참석차 중국 베이징을 찾은 그는 "엔비디아의 부재에도 중국 본토의 혁신 기업들이나 화웨이와 같은 반도체 업체들이 시장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는 인류의 혁신 능력에 대한 나의 확신"이라면서 "뜻이 있는 자는 끝내 성공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황 CEO의 발언은 중국 AI 기업의 잠재력을 높게 평가하는 동시에 미국 정부의 수출 통제로 중국 시장에서 엔비디아가 소외될 경우 결국 입게 될 타격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미중 기술 경쟁 갈등이 심화하는 와중에 올해만 세 번째 중국을 방문한 그는 자사 첨단 제품을 중국에 판매하지 못하게 하는 미국 정부의 기술 통제 정책에 공개적으로 반대 입장을 밝혀왔습니다.
이번에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을 직접 만나 설득한 끝에 대(對)중국 H20 칩 수출이 다시 가능해졌지만, 미국 여당인 공화당에서 중국 견제 목소리를 주도해온 한 하원의원이 이에 대한 반대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하는 등 수출에 대한 불안정성은 여전한 상황입니다.
또 H20보다 고급 사양 칩, 즉 엔비디아의 최첨단 모델에 대한 중국 수출은 여전히 원천적으로 차단된 상황입니다.
CCTV 대담 프로그램은 약 40분간 방영됐으며 그는 내내 중국의 공급망과 AI 발전 성과를 극찬했습니다.
황 CEO는 "중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공급망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다른 나라의 공급망까지 도와주고 있다"면서 "AI, 소프트웨어, 기계 시스템의 통합 능력은 중국에서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 되고 있고, 이는 중국에 있어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화웨이에 대해 회사 규모와 인력 규모, 기술력이 모두 크고 뛰어난 비범한 기업이라고 평가했으며, 딥시크의 R1 모델은 H20 칩의 구조적 장점을 최대한 살리는 방식으로 설계해 세계적 수준의 성과를 이뤄냈다는 점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이번 방중 기간에 미국 정부의 H20 칩 판매 허용 소식을 직접 전하고, 중국 전통의상을 입고 박람회 개막식에 등장해 중국어로 축사하고, 내외신 언론들과 100분에 가까운 기자회견을 소화하는 등의 행보로 화제를 일으켰습니다.
글로벌 기업 중 처음으로 시총 4조 달러 돌파 기록을 세운 그는 인터뷰 말미 "나는 회의 때 '우리 회사는 파산까지 겨우 30일 남았다'고 얘기하곤 한다"고 말했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