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 돌풍으로 가상의 아이돌이 인간 아이돌의 인기를 넘어서는 시대를 열었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습니다.
WSJ은 현지 시간 20일 보도에서 "K팝에서 가장 큰 이름은 BTS가 아닌 넷플릭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세계적 인기를 이같이 자세히 조명했습니다.
이 신문은 "가상의 아이돌 밴드가 인간 아이돌이 이루지 못한 수준까지 도달했다"며 "초현실적"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영화 속 '사자 보이스' 멤버의 보컬을 맡은 케빈 우의 스포티파이 월간 청취자 수는 약 2천만 명에 달하고, 노래 2곡은 가장 많이 스트리밍된 곡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BTS나 블랙핑크 등 어떤 K팝 그룹도 달성하지 못한 기록이라고 WSJ은 전했습니다.
그러나 가상의 아이돌 밴드가 현실의 아이돌보다 더 큰 인기를 얻게 된 이후 K팝의 재창조를 꿈꾸던 이들에게 냉혹한 현실을 안겨줬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UCLA의 K팝 연구자 김석영 교수는 이번 영화의 성공은 팬들이 가상 아이돌과 소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 모방작들을 양산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습니다.
김 교수는 "K팝 기업들의 오랜 꿈"이라며 "여기엔 잠도 자지 않고 아프지도 않고 늙지도 않는 아이돌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YTN 정유신 (yus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WSJ은 현지 시간 20일 보도에서 "K팝에서 가장 큰 이름은 BTS가 아닌 넷플릭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세계적 인기를 이같이 자세히 조명했습니다.
이 신문은 "가상의 아이돌 밴드가 인간 아이돌이 이루지 못한 수준까지 도달했다"며 "초현실적"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영화 속 '사자 보이스' 멤버의 보컬을 맡은 케빈 우의 스포티파이 월간 청취자 수는 약 2천만 명에 달하고, 노래 2곡은 가장 많이 스트리밍된 곡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BTS나 블랙핑크 등 어떤 K팝 그룹도 달성하지 못한 기록이라고 WSJ은 전했습니다.
그러나 가상의 아이돌 밴드가 현실의 아이돌보다 더 큰 인기를 얻게 된 이후 K팝의 재창조를 꿈꾸던 이들에게 냉혹한 현실을 안겨줬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UCLA의 K팝 연구자 김석영 교수는 이번 영화의 성공은 팬들이 가상 아이돌과 소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 모방작들을 양산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습니다.
김 교수는 "K팝 기업들의 오랜 꿈"이라며 "여기엔 잠도 자지 않고 아프지도 않고 늙지도 않는 아이돌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YTN 정유신 (yus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