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한화 큐셀을 비롯한 미국 내 태양광 업체들이 인도와 인도네시아, 라오스에서 수입하는 태양광 패널에 관세를 부과해달라고 미국 트럼프 행정부에 요청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한화 큐셀과 퍼스트 솔라, 탈론 PV, 미션 솔라 등 미국 태양광 업체로 구성된 단체인 '미국 태양광 제조·무역 연맹'이 상무부에 이같이 청원했다고 전했습니다.
업체들은 중국이 소유한 기업들이 인도네시아, 인도, 라오스에 있는 공장에서 불공정하게 낮은 가격의 제품을 만들어 미국에 수출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이들은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4개국에서 수입하는 태양광 패널에 대해서도 같은 이유로 관세를 요청했습니다.
이에 미국 정부는 지난해 요청을 받아들여 4개국의 태양광 제품에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이후 4개국에서 수입하는 물량이 줄었지만, 인도네시아와 라오스가 그 공백을 채웠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인도네시아와 라오스가 미국의 태양광 셀과 모듈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5월 1.9%에서 올해 5월 44%로 급증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인도에서 수입하는 물량도 2022년 중반부터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로이터 통신은 한화 큐셀과 퍼스트 솔라, 탈론 PV, 미션 솔라 등 미국 태양광 업체로 구성된 단체인 '미국 태양광 제조·무역 연맹'이 상무부에 이같이 청원했다고 전했습니다.
업체들은 중국이 소유한 기업들이 인도네시아, 인도, 라오스에 있는 공장에서 불공정하게 낮은 가격의 제품을 만들어 미국에 수출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이들은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4개국에서 수입하는 태양광 패널에 대해서도 같은 이유로 관세를 요청했습니다.
이에 미국 정부는 지난해 요청을 받아들여 4개국의 태양광 제품에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이후 4개국에서 수입하는 물량이 줄었지만, 인도네시아와 라오스가 그 공백을 채웠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인도네시아와 라오스가 미국의 태양광 셀과 모듈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5월 1.9%에서 올해 5월 44%로 급증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인도에서 수입하는 물량도 2022년 중반부터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