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플랫폼 최고경영자(CEO) 마크 저커버그 등 전·현직 임원들이 페이스북의 개인정보 침해를 방치해 회사에 손해를 입혔다며 제기된 11조 원 규모의 소송에 합의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소송을 제기한 메타 주주 측이 두 번째 재판을 앞두고 심리가 열리고 있는 델라웨어 형평 법원 캐서린 맥코믹 판사에게 합의 사실을 알렸다고 보도했습니다.
지난 2018년 4월 메타 주주 11명은 이른바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 스캔들'을 경영진이 제대로 공시하지 않아 회사 가치를 떨어뜨렸다며 저커버그 등 경영진을 상대로 소송을 냈습니다.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 스캔들'은 2016년 미 대선 당시 영국 컨설팅 회사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가 페이스북 이용자 8,700만여 명의 개인 정보를 동의 없이 수집해 선거 광고 등에 활용한 사건입니다.
이 스캔들이 보도된 뒤 첫 거래일에 메타의 주가는 7% 가까이 하락했습니다.
2019년 미국 연방 거래위원회(FTC)는 페이스북이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충실히 보호하지 않았다며 50억 달러의 벌금을 부과했고, 저커버그 등 경영진을 고소하지 않기로 합의했습니다.
메타 주주들은 회사가 과도한 금액을 내며 FTC와 합의했고 이는 저커버그가 개인적인 법적 책임을 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주장하며 경영진에 대해 손해 배상금 환수를 요구했습니다.
지난 16일 처음 열린 재판에서는 17일, 두 번째 심리가 예정돼 있었고 메타 이사인 억만장자 벤처 투자자 마크 안드리센이 증언할 예정이었습니다.
저커버그는 오는 21일, 페이스북 이사를 지낸 팔란티어 공동 창업자 피터 틸과 넷플릭스 공동 창업자인 리드 헤이스팅스의 증언도 줄줄이 예정돼 있었습니다.
저커버그 등 전·현직 임원들의 증언을 앞두고 전격적으로 투자자들과 합의가 이뤄진 것으로 보입니다.
디지털 콘텐츠 제공자들의 산업 단체인 '디지털 콘텐트 넥스트'(Digital Content Next)는 "이번 합의는 공공의 책임을 묻는 중요한 기회를 놓친 셈"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페이스북은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 스캔들을 단지 몇몇 개인의 일탈로 축소하는 데 성공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감시 자본주의(개인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이윤을 창출하는 경제 모델)와 제한 없는 개인 정보 공유란 사업 모델 자체에 대한 반성은 없었고, 책임이 해결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로이터 통신은 소송을 제기한 메타 주주 측이 두 번째 재판을 앞두고 심리가 열리고 있는 델라웨어 형평 법원 캐서린 맥코믹 판사에게 합의 사실을 알렸다고 보도했습니다.
지난 2018년 4월 메타 주주 11명은 이른바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 스캔들'을 경영진이 제대로 공시하지 않아 회사 가치를 떨어뜨렸다며 저커버그 등 경영진을 상대로 소송을 냈습니다.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 스캔들'은 2016년 미 대선 당시 영국 컨설팅 회사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가 페이스북 이용자 8,700만여 명의 개인 정보를 동의 없이 수집해 선거 광고 등에 활용한 사건입니다.
이 스캔들이 보도된 뒤 첫 거래일에 메타의 주가는 7% 가까이 하락했습니다.
2019년 미국 연방 거래위원회(FTC)는 페이스북이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충실히 보호하지 않았다며 50억 달러의 벌금을 부과했고, 저커버그 등 경영진을 고소하지 않기로 합의했습니다.
메타 주주들은 회사가 과도한 금액을 내며 FTC와 합의했고 이는 저커버그가 개인적인 법적 책임을 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주장하며 경영진에 대해 손해 배상금 환수를 요구했습니다.
지난 16일 처음 열린 재판에서는 17일, 두 번째 심리가 예정돼 있었고 메타 이사인 억만장자 벤처 투자자 마크 안드리센이 증언할 예정이었습니다.
저커버그는 오는 21일, 페이스북 이사를 지낸 팔란티어 공동 창업자 피터 틸과 넷플릭스 공동 창업자인 리드 헤이스팅스의 증언도 줄줄이 예정돼 있었습니다.
저커버그 등 전·현직 임원들의 증언을 앞두고 전격적으로 투자자들과 합의가 이뤄진 것으로 보입니다.
디지털 콘텐츠 제공자들의 산업 단체인 '디지털 콘텐트 넥스트'(Digital Content Next)는 "이번 합의는 공공의 책임을 묻는 중요한 기회를 놓친 셈"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페이스북은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 스캔들을 단지 몇몇 개인의 일탈로 축소하는 데 성공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감시 자본주의(개인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이윤을 창출하는 경제 모델)와 제한 없는 개인 정보 공유란 사업 모델 자체에 대한 반성은 없었고, 책임이 해결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