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지구촌이 온난화에 따른 극한 기후로 몸살을 앓는 가운데 산불·태풍 같은 자연재해에 대비한 일명 '재난 채권'이 기록적인 수준으로 팔리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가 현지시각 15일 보도했습니다.
이 신문은 데이터 제공업체 아테미스를 인용해 올해 들어 지금까지 발행된 재난 채권이 181억 달러, 약 25조 원 규모에 달한다고 전했습니다.
이는 종전 최고치인 지난해 연간 재난 채권 판매액 177억 달러를 넘어선 겁니다.
보험사들이 발행하는 재난 채권은 산불이나 태풍, 지진, 홍수, 폭염 같은 재해에 따른 손실액을 부담하는 일종의 재보험 상품으로, 투자자들은 보험사 등으로부터 국채 같은 전통적인 고정 수입 상품보다 더 높은 수익을 받지만, 실제 재난이 터지면 손실을 보게 됩니다.
재난 채권 판매의 증가는 극한 기후가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은데, 이런 재난이 뉴노멀이 되면서 2020년대 들어 보험사들이 자연재해로 인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지급한 금액은 연간 천억 달러, 약 138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재보험사 스위스리는 최근 이 손해액이 정점에 달할 때는 연간 최대 3천억 달러가 될 수도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YTN 한상옥 (hans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 신문은 데이터 제공업체 아테미스를 인용해 올해 들어 지금까지 발행된 재난 채권이 181억 달러, 약 25조 원 규모에 달한다고 전했습니다.
이는 종전 최고치인 지난해 연간 재난 채권 판매액 177억 달러를 넘어선 겁니다.
보험사들이 발행하는 재난 채권은 산불이나 태풍, 지진, 홍수, 폭염 같은 재해에 따른 손실액을 부담하는 일종의 재보험 상품으로, 투자자들은 보험사 등으로부터 국채 같은 전통적인 고정 수입 상품보다 더 높은 수익을 받지만, 실제 재난이 터지면 손실을 보게 됩니다.
재난 채권 판매의 증가는 극한 기후가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은데, 이런 재난이 뉴노멀이 되면서 2020년대 들어 보험사들이 자연재해로 인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지급한 금액은 연간 천억 달러, 약 138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재보험사 스위스리는 최근 이 손해액이 정점에 달할 때는 연간 최대 3천억 달러가 될 수도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YTN 한상옥 (hans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