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견제' 포기하나...미 국무부 대중업무 직원도 감원

'중국 견제' 포기하나...미 국무부 대중업무 직원도 감원

2025.07.15. 오전 11:0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미국 국무부가 한꺼번에 감원한 직원 1천300여 명 가운데 중국 관련 업무를 담당하던 직원들도 적잖게 포함됐다고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현지시간 14일 전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최우선 대외기조인 대중견제와 어긋나는 행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미국 국무부는 지난 11일 일반직 공무원 1천107명과 외교관직 간부 246명에게 "직위가 폐지됐다"며 해고 통보를 보내고, 당일 오후 5시까지 짐을 싸서 사무실에서 나가라고 지시했습니다.

WP에 따르면 해고된 직원들 중에는 글로벌 여성 이슈, 미국의 소프트파워 관련 사업, 화학무기 정책, 다자간 핵 외교 등을 담당하던 외교관들이 포함됐습니다.

또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들을 담당해오던 내근 데스크직 공무원들도 자리가 없어졌습니다.

동아시아태평양국 내 다자업무과가 폐지되면서 중국의 남중국해 도발에 대한 외교적 대응을 조율하기 위해 아세안 국가들과의 다자업무를 담당해오던 직원들이 사라졌습니다.

한 정부 관계자는 WP에 미국 국무부의 아세안 지역 다자간 업무 담당 조직이 사라지면서 미국의 파트너 국가들이 중국의 손에 놀아나게 될 것이라며, 미국이 각 나라를 각각 양자 관계로만 다루는 것이 중국이 원하는 바라고 말했습니다.

국무부 남중앙아시아국 내 안보초국적업무과도 없어졌습니다.

이 부서는 수억 달러 규모의 대외 원조를 관리해왔으며,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협의체인 이른바 '쿼드'(미국·일본·호주·인도)와 관련해 기술과 안보 이슈에 관한 전문성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중국 정부는 인프라 프로젝트를 미끼로 동남아시아에서 미국의 파트너 국가들을 하나씩 떼어내려고 해왔습니다.

바이든 행정부 백악관에서 아시아 정책 보좌관으로 일했던 미라 래프-후퍼는 "미-중 경쟁은 양자 간 진공상태(미국과 중국 두 나라만 있고 다른 나라는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하면서 "대외 원조를 끊고 이 핵심 지역에 전문성이 있는 외교관들을 해고한 것은 항복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 시절 국무부와 백악관에서 고위직을 지낸 중국·동남아시아 전문가 헨리에타 레빈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선임연구원은 "인도태평양에서 중국과 경쟁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루비오(국무장관)가 중국이 제1번 순위라고 주장하면서도 그 경쟁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를 담당하는 팀을 국무부가 제거하는 것을 보니 혼란스럽다"고 WP에 밝혔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