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120여 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텍사스 홍수 참사를 계기로 미국에선 기상과 재난 분야 정부 기관의 예산 삭감과 인력 감축이 큰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런 구조조정이 민영화를 위한 포석이라는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보도에 유투권 기자입니다.
[기자]
취임하자마자 일론 머스크를 앞세워 수백 명의 기상 예보관을 해고한 트럼프 대통령.
텍사스 홍수 참사가 발생한 후에도 자신의 결정엔 문제가 없었다고 강조했습니다.
100년 만의 폭우는 누구도 예측할 수 없었고, 해고한 인력을 복귀시킬 생각도 없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지난 6일) : (해고는) 정말 몰랐습니다.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홍수는 몇 초 만에 일어난 일입니다.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한 발 더 나가 추가적인 예산 삭감과 인력 감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선 이런 극단적인 구조조정이 결국 예보 업무의 민영화를 위한 포석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트럼프 집권 2기의 청사진이라는 평가를 받는 보고서에는 기상청의 상급 기관인 해양대기청을 해체하고, 예보 업무를 완전히 상업화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최근엔 민영화를 지지하는 민간 기상업체 인사와 전문 로비스트가 차기 해양대기청장과 핵심 요직에 지명됐습니다.
[닐 제이콥스 / 미국 해양대기청장 지명자 : (예보 능력 향상을 위해선) 새로운 기술, 참신한 접근 방식, 산업계와의 협력을 통한 관측 시스템 발전이 필요합니다.]
많은 전문가는 예보 업무가 위축되거나 민영화되면 결국 돈이 없는 사람들이 가장 큰 피해를 보게 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릭 스핀래드 / 전 미국 해양대기청장 연구도 없고, 직원도 없으면, 허리케인뿐 아니라 토네이도, 홍수, 가뭄, 산불 등 모든 예측이 분명히 나빠질 것입니다.]
주무 장관인 러트닉 상무장관의 이해충돌 논란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러트닉 장관이 운영하다 아들에게 넘겨준 월가의 투자은행은 날씨 파생상품 시장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또 자신이 대주주로 있는 인공위성 회사의 경우, 해양대기청의 위성 관측 사업이 축소될수록 반사이익을 누릴 가능성이 큽니다.
트럼프 대통령이나 러트닉 장관은 공식적으로 민영화 계획과는 선을 긋고 있지만, 의구심이 쉽게 사라지진 않을 전망입니다.
YTN 유투권입니다.
영상편집 : 임현철
디자인 : 박유동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20여 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텍사스 홍수 참사를 계기로 미국에선 기상과 재난 분야 정부 기관의 예산 삭감과 인력 감축이 큰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런 구조조정이 민영화를 위한 포석이라는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보도에 유투권 기자입니다.
[기자]
취임하자마자 일론 머스크를 앞세워 수백 명의 기상 예보관을 해고한 트럼프 대통령.
텍사스 홍수 참사가 발생한 후에도 자신의 결정엔 문제가 없었다고 강조했습니다.
100년 만의 폭우는 누구도 예측할 수 없었고, 해고한 인력을 복귀시킬 생각도 없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지난 6일) : (해고는) 정말 몰랐습니다.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홍수는 몇 초 만에 일어난 일입니다.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한 발 더 나가 추가적인 예산 삭감과 인력 감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선 이런 극단적인 구조조정이 결국 예보 업무의 민영화를 위한 포석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트럼프 집권 2기의 청사진이라는 평가를 받는 보고서에는 기상청의 상급 기관인 해양대기청을 해체하고, 예보 업무를 완전히 상업화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최근엔 민영화를 지지하는 민간 기상업체 인사와 전문 로비스트가 차기 해양대기청장과 핵심 요직에 지명됐습니다.
[닐 제이콥스 / 미국 해양대기청장 지명자 : (예보 능력 향상을 위해선) 새로운 기술, 참신한 접근 방식, 산업계와의 협력을 통한 관측 시스템 발전이 필요합니다.]
많은 전문가는 예보 업무가 위축되거나 민영화되면 결국 돈이 없는 사람들이 가장 큰 피해를 보게 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릭 스핀래드 / 전 미국 해양대기청장 연구도 없고, 직원도 없으면, 허리케인뿐 아니라 토네이도, 홍수, 가뭄, 산불 등 모든 예측이 분명히 나빠질 것입니다.]
주무 장관인 러트닉 상무장관의 이해충돌 논란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러트닉 장관이 운영하다 아들에게 넘겨준 월가의 투자은행은 날씨 파생상품 시장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또 자신이 대주주로 있는 인공위성 회사의 경우, 해양대기청의 위성 관측 사업이 축소될수록 반사이익을 누릴 가능성이 큽니다.
트럼프 대통령이나 러트닉 장관은 공식적으로 민영화 계획과는 선을 긋고 있지만, 의구심이 쉽게 사라지진 않을 전망입니다.
YTN 유투권입니다.
영상편집 : 임현철
디자인 : 박유동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