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무국적자와 외국인의 러시아군 복무 기회를 넓히는 법률 개정안에 서명했다고 타스 통신이 현지 시간 8일 보도했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전날 러시아 시민권이 없어도 러시아군에서 계약 복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군사 복무 절차 개정안을 승인했습니다.
개정안에 따르면 무국적자도 러시아군과 입대 계약을 할 수 있고, 1년 이상 복무 계약 시 5년 거주 요건 없이 러시아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군 복무 기록이 있는 무국적자와 가족은 연금과 사회복지 혜택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타스 통신은 이번 개정 목적이 "러시아군 병력을 보충하기 위한 추가 조치를 긴급히 취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러시아는 자국민 반발을 일으킬 수 있는 동원령을 피하기 위해 수감자를 전선에 내보내기도 했습니다.
일부에서는 무국적자 군 복무 허용 규정이 우크라이나 점령지 주민을 군으로 끌어들이는 데 이용될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타스 통신은 러시아 보안 당국 소식통을 인용해 한국 출신 용병들이 우크라이나군 소속으로 접경지 전투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이 전쟁포로 신문 과정에서 드러났다고 전했습니다.
YTN 정유신 (yus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푸틴 대통령은 전날 러시아 시민권이 없어도 러시아군에서 계약 복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군사 복무 절차 개정안을 승인했습니다.
개정안에 따르면 무국적자도 러시아군과 입대 계약을 할 수 있고, 1년 이상 복무 계약 시 5년 거주 요건 없이 러시아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군 복무 기록이 있는 무국적자와 가족은 연금과 사회복지 혜택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타스 통신은 이번 개정 목적이 "러시아군 병력을 보충하기 위한 추가 조치를 긴급히 취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러시아는 자국민 반발을 일으킬 수 있는 동원령을 피하기 위해 수감자를 전선에 내보내기도 했습니다.
일부에서는 무국적자 군 복무 허용 규정이 우크라이나 점령지 주민을 군으로 끌어들이는 데 이용될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타스 통신은 러시아 보안 당국 소식통을 인용해 한국 출신 용병들이 우크라이나군 소속으로 접경지 전투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이 전쟁포로 신문 과정에서 드러났다고 전했습니다.
YTN 정유신 (yus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