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트럼프 미 대통령의 상호관세 유예 시한을 앞두고 미국이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베트남과 무역 합의를 타결했습니다.
한미 무역 협상에서는 디지털 교역이 쟁점으로 떠올라 협상이 복잡해졌다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워싱턴 홍상희 특파원입니다.
[기자]
트럼프 미 대통령이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무역 합의를 이뤘다고 밝혔습니다.
베트남이 미국으로 수출하는 모든 상품에 관세 20%를 부과하고 미국산 제품을 베트남에 무관세로 수출하는 것이 주요 내용입니다.
지난 4월 2일 베트남에 대해 발표한 46%의 상호관세보다 절반 이상 낮아진 수치입니다.
하지만 중국을 겨냥해 제3국이 베트남을 거쳐 우회 수출하는 상품에는 4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베트남이 미국에 시장을 개방하게 됐다며 미국산 SUV와 대형 차량이 베트남에서 잘 팔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달 영국에 이어 베트남이 미국과 합의에 도달하면서 아시아 국가 가운데 첫 무역 합의를 체결하게 됐습니다.
각국과의 무역 협상을 이끌고 있는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인도와의 협상 타결도 임박했다며 미국이 전례 없는 강력한 협상을 이끌어나가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스콧 베센트 / 미 재무장관(현지시간 1일) : 우리는 세계 무역 시스템의 균형을 재조정하고 미국 국민을 위한 공정한 시스템을 만들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국민에게 공정하지 않다면 거래를 받아들이지 말라고 말했습니다.]
마이클 폴켄더 재무부 부장관은 다음 주 추가 무역합의가 발표될 거라며 협상에 진전이 없는 국가에 대해서는 관세율이 발표될 것이라고 압박했습니다.
상호관세 유예 기한이 오는 8일로 다가왔지만 우리나라와 미국의 무역 합의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지난달말 한미 고위급 무역 협상에서 한국의 온라인 플랫폼법 등 디지털 교역이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며 합의가 임박한 건 아니라고 보도했습니다.
워싱턴에서 YTN 홍상희입니다.
촬영;임세원
영상편집;김현준
YTN 홍상희 (sa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트럼프 미 대통령의 상호관세 유예 시한을 앞두고 미국이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베트남과 무역 합의를 타결했습니다.
한미 무역 협상에서는 디지털 교역이 쟁점으로 떠올라 협상이 복잡해졌다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워싱턴 홍상희 특파원입니다.
[기자]
트럼프 미 대통령이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무역 합의를 이뤘다고 밝혔습니다.
베트남이 미국으로 수출하는 모든 상품에 관세 20%를 부과하고 미국산 제품을 베트남에 무관세로 수출하는 것이 주요 내용입니다.
지난 4월 2일 베트남에 대해 발표한 46%의 상호관세보다 절반 이상 낮아진 수치입니다.
하지만 중국을 겨냥해 제3국이 베트남을 거쳐 우회 수출하는 상품에는 4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베트남이 미국에 시장을 개방하게 됐다며 미국산 SUV와 대형 차량이 베트남에서 잘 팔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달 영국에 이어 베트남이 미국과 합의에 도달하면서 아시아 국가 가운데 첫 무역 합의를 체결하게 됐습니다.
각국과의 무역 협상을 이끌고 있는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인도와의 협상 타결도 임박했다며 미국이 전례 없는 강력한 협상을 이끌어나가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스콧 베센트 / 미 재무장관(현지시간 1일) : 우리는 세계 무역 시스템의 균형을 재조정하고 미국 국민을 위한 공정한 시스템을 만들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국민에게 공정하지 않다면 거래를 받아들이지 말라고 말했습니다.]
마이클 폴켄더 재무부 부장관은 다음 주 추가 무역합의가 발표될 거라며 협상에 진전이 없는 국가에 대해서는 관세율이 발표될 것이라고 압박했습니다.
상호관세 유예 기한이 오는 8일로 다가왔지만 우리나라와 미국의 무역 합의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지난달말 한미 고위급 무역 협상에서 한국의 온라인 플랫폼법 등 디지털 교역이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며 합의가 임박한 건 아니라고 보도했습니다.
워싱턴에서 YTN 홍상희입니다.
촬영;임세원
영상편집;김현준
YTN 홍상희 (sa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