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한국의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는 날, 미국 알래스카에서 액화천연가스, LNG 가스관 건설 사업을 논의할 회의가 열립니다.
로이터 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부 장관과 더그 버검 내무부 장관이 다음 달 2일 알래스카 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며, 한국과 일본, 타이완 관계자들도 초청을 받았다고 보도했습니다.
버검 내무부 장관은 부처 간 에너지 정책을 조율하는 이른바 '에너지 차르'도 겸하고 있어 미국의 에너지 정책을 관장하는 투 톱이 모두 참석하는 셈입니다.
이 회의에선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가스관 사업과 북극권의 에너지 개발 협력 프로젝트가 논의됩니다.
알래스카 LNG 사업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는 북쪽 가스전 일대를 직접 찾아가는 일정도 회의 프로그램에 포함돼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라이트와 버검은 3∼5일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 열리는 '에너지 콘퍼런스'에도 참석할 예정인데, 마이크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는 이 콘퍼런스에도 한국 정부 측을 초청했습니다.
한국은 대선이 열리는 6월 3일과 행사 기간이 겹치는 까닭에 참석 여부가 불투명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일본에서는 무토 요지 경제산업상이 초청장을 받았지만, 의회 일정 때문에 참석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일본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 경과를 지켜보며 얼마나 고위급 인사를 회의에 보낼지 결정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타이완에서는 국영 석유 기업인 타이완 중유 공사(CPC) 측에서 회의에 참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서 CPC는 알래스카 가스 라인 개발 공사(AGDC)와 LNG 구매·투자 의향서를 체결했습니다.
440억 달러 규모의 알래스카 LNG 사업은 북극권의 가스전에서 알래스카 남쪽까지 1,300km의 파이프 라인을 건설한 뒤 이곳에서 가스를 액화해 아시아 국가 등으로 수출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 계획은 10여 년 전에 처음 제안됐으나 막대한 투자·물류비용과 사업성 부족 등 문제로 성공 가능성이 작다고 치부됐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두 번째 임기 첫날인 1월 20일에 이와 관련한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어 3월 국정 연설에서는 이 사업과 관련해 "한국과 일본, 다른 나라들이 우리의 파트너가 되기를 원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사실상 참여를 압박했습니다.
미국과 통상 협상을 통해 각각 25%에 달하는 국가별 상호 관세와 자동차 관세 문제 등을 해결해야 하는 한국의 입장에서는 이런 압박을 외면하기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로이터 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부 장관과 더그 버검 내무부 장관이 다음 달 2일 알래스카 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며, 한국과 일본, 타이완 관계자들도 초청을 받았다고 보도했습니다.
버검 내무부 장관은 부처 간 에너지 정책을 조율하는 이른바 '에너지 차르'도 겸하고 있어 미국의 에너지 정책을 관장하는 투 톱이 모두 참석하는 셈입니다.
이 회의에선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가스관 사업과 북극권의 에너지 개발 협력 프로젝트가 논의됩니다.
알래스카 LNG 사업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는 북쪽 가스전 일대를 직접 찾아가는 일정도 회의 프로그램에 포함돼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라이트와 버검은 3∼5일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 열리는 '에너지 콘퍼런스'에도 참석할 예정인데, 마이크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는 이 콘퍼런스에도 한국 정부 측을 초청했습니다.
한국은 대선이 열리는 6월 3일과 행사 기간이 겹치는 까닭에 참석 여부가 불투명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일본에서는 무토 요지 경제산업상이 초청장을 받았지만, 의회 일정 때문에 참석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일본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 경과를 지켜보며 얼마나 고위급 인사를 회의에 보낼지 결정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타이완에서는 국영 석유 기업인 타이완 중유 공사(CPC) 측에서 회의에 참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서 CPC는 알래스카 가스 라인 개발 공사(AGDC)와 LNG 구매·투자 의향서를 체결했습니다.
440억 달러 규모의 알래스카 LNG 사업은 북극권의 가스전에서 알래스카 남쪽까지 1,300km의 파이프 라인을 건설한 뒤 이곳에서 가스를 액화해 아시아 국가 등으로 수출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 계획은 10여 년 전에 처음 제안됐으나 막대한 투자·물류비용과 사업성 부족 등 문제로 성공 가능성이 작다고 치부됐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두 번째 임기 첫날인 1월 20일에 이와 관련한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어 3월 국정 연설에서는 이 사업과 관련해 "한국과 일본, 다른 나라들이 우리의 파트너가 되기를 원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사실상 참여를 압박했습니다.
미국과 통상 협상을 통해 각각 25%에 달하는 국가별 상호 관세와 자동차 관세 문제 등을 해결해야 하는 한국의 입장에서는 이런 압박을 외면하기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