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암살을 선동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사진을 SNS에 올린 제임스 코미 전 연방수사국(FBI) 국장을 "더러운 경찰"(dirty cop)로 칭하며 맹비난했습니다.
폭스 뉴스는 트럼프가 방송 인터뷰에서 코미 전 국장이 자신에 대한 암살을 선동하는 함의를 알면서도 문제의 사진을 올린 건 "끔찍한 일"이라며 이같이 비판했습니다.
트럼프는 "어린이도 그 사진이 의미하는 바를 안다"며 "코미가 그런 일을 한 것에는 이유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그에 대한 입장을 취하고 싶지 않다"면서 "팸 본디 법무장관과 모든 훌륭한 사람들에게 달린 일"이라며 법 집행 당국의 수사를 지켜보겠다는 인식을 드러냈습니다.
코미 전 국장은 트럼프 집권 1기 때 트럼프와 각을 세우다 FBI 수장직에서 해임됐습니다.
최근에는 인스타그램에 조개껍데기들이 '86 47'이라는 모양으로 놓인 사진을 올리고 "해변 산책로에서 본 멋진 조개 배치"라는 글을 남긴 것이 논란을 불렀습니다.
미국에서 숫자 '86'은 속어로 쓰일 때 '내쫓다', '제거하다'는 의미로 통용되는데, 일부에서는 '죽이다'라는 의미를 담아 쓰기도 합니다.
이에 코미가 올린 사진이 '47대 미국 대통령인 트럼프를 죽이자'는 의미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코미 전 국장은 이 게시물이 논란을 일으키자 삭제한 뒤 "그것이 정치적 메시지라고 여겼지만, 어떤 사람들이 이 숫자들을 폭력과 연관시킨다는 점을 깨닫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그런 생각은 해 본 적이 없지만, 일체의 폭력에 반대하기 때문에 게시물을 내렸다"고 해명했습니다.
트럼프를 자리에서 쫓아내거나 반대하는 데 대한 지지의 뜻을 담아 사진을 올린 것일 뿐이며, '86'이라는 숫자가 살인의 의미로도 사용된다는 것은 몰랐다는 취지였습니다.
하지만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 장관은 전날 이를 암살 선동으로 규정하면서 "국토안보부와 비밀경호국(USSS)이 이 협박을 수사 중이며 적절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캐시 파텔 현 FBI 국장은 이 문제에 대한 1차 수사권을 가진 비밀경호국과 비밀경호국 국장에게 "모든 필요한 지원을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코미 전 국장은 2016년 대선을 앞두고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의 민간 이메일 계정 공무상 사용 의혹을 수사하기로 결정해 트럼프의 승리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취임 이후 FBI가 러시아 정부 관계자들과 2016년 트럼프 대통령 선거운동본부 관계자들 사이에 연관이 있다는 주장을 수사한 것이 트럼프의 분노를 샀습니다.
결국, 트럼프 1기 첫해인 2017년 법정 임기를 남긴 상황에서 해임됐습니다.
이후 코미는 자신이 트럼프 재임 중 겪은 일들을 소개하면서 트럼프를 비판하는 주장을 저서와 언론 기고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제기했습니다.
이로 인해 코미는 트럼프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공적으로 통했는데, 논쟁적인 이번 SNS 게시물로 인해 자신에 대한 공세의 빌미를 자초한 격이 됐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폭스 뉴스는 트럼프가 방송 인터뷰에서 코미 전 국장이 자신에 대한 암살을 선동하는 함의를 알면서도 문제의 사진을 올린 건 "끔찍한 일"이라며 이같이 비판했습니다.
트럼프는 "어린이도 그 사진이 의미하는 바를 안다"며 "코미가 그런 일을 한 것에는 이유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그에 대한 입장을 취하고 싶지 않다"면서 "팸 본디 법무장관과 모든 훌륭한 사람들에게 달린 일"이라며 법 집행 당국의 수사를 지켜보겠다는 인식을 드러냈습니다.
코미 전 국장은 트럼프 집권 1기 때 트럼프와 각을 세우다 FBI 수장직에서 해임됐습니다.
최근에는 인스타그램에 조개껍데기들이 '86 47'이라는 모양으로 놓인 사진을 올리고 "해변 산책로에서 본 멋진 조개 배치"라는 글을 남긴 것이 논란을 불렀습니다.
미국에서 숫자 '86'은 속어로 쓰일 때 '내쫓다', '제거하다'는 의미로 통용되는데, 일부에서는 '죽이다'라는 의미를 담아 쓰기도 합니다.
이에 코미가 올린 사진이 '47대 미국 대통령인 트럼프를 죽이자'는 의미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코미 전 국장은 이 게시물이 논란을 일으키자 삭제한 뒤 "그것이 정치적 메시지라고 여겼지만, 어떤 사람들이 이 숫자들을 폭력과 연관시킨다는 점을 깨닫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그런 생각은 해 본 적이 없지만, 일체의 폭력에 반대하기 때문에 게시물을 내렸다"고 해명했습니다.
트럼프를 자리에서 쫓아내거나 반대하는 데 대한 지지의 뜻을 담아 사진을 올린 것일 뿐이며, '86'이라는 숫자가 살인의 의미로도 사용된다는 것은 몰랐다는 취지였습니다.
하지만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 장관은 전날 이를 암살 선동으로 규정하면서 "국토안보부와 비밀경호국(USSS)이 이 협박을 수사 중이며 적절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캐시 파텔 현 FBI 국장은 이 문제에 대한 1차 수사권을 가진 비밀경호국과 비밀경호국 국장에게 "모든 필요한 지원을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코미 전 국장은 2016년 대선을 앞두고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의 민간 이메일 계정 공무상 사용 의혹을 수사하기로 결정해 트럼프의 승리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취임 이후 FBI가 러시아 정부 관계자들과 2016년 트럼프 대통령 선거운동본부 관계자들 사이에 연관이 있다는 주장을 수사한 것이 트럼프의 분노를 샀습니다.
결국, 트럼프 1기 첫해인 2017년 법정 임기를 남긴 상황에서 해임됐습니다.
이후 코미는 자신이 트럼프 재임 중 겪은 일들을 소개하면서 트럼프를 비판하는 주장을 저서와 언론 기고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제기했습니다.
이로 인해 코미는 트럼프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공적으로 통했는데, 논쟁적인 이번 SNS 게시물로 인해 자신에 대한 공세의 빌미를 자초한 격이 됐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