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인도가 테러로 촉발된 갈등 속에 현지 시간 오늘(7일) 새벽 파키스탄을 미사일로 공습한 것에 대해 "매우 우려스럽다"면서 자제를 촉구했습니다.
AFP 통신에 따르면, 스테판 두자릭 유엔 사무총장 대변인은 성명에서 "사무총장은 실질통제선(LoC)과 국경을 넘어서는 인도의 군사 작전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면서 "양국 모두에 최대한의 군사적 자제를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세계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군사적 대립을 감당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인도는 이날 파키스탄이 점령하고 있는 카슈미르 지역 내 9곳을 미사일로 공격했고, 파키스탄도 인도를 겨냥해 보복 미사일 공격을 가한 상태입니다.
국제사회의 승인이 없이 핵무기를 보유하는 인도와 파키스탄이 미사일 공격을 주고받자 전 세계는 확전 가능성을 주시하며 노심초사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양국의 충돌이 빨리 끝났으면 한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트럼프는 백악관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참 유감이다. 우리는 그 일을 방금 들었다"면서 "그들은 수십 년, 수세기 동안 싸워왔다. 이 일이 매우 빨리 끝났으면 한다"고 말했습니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1947년 영국에서 독립한 뒤 세 차례 전면전을 치른 바 있습니다.
두 나라 모두 카슈미르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 분쟁 지역을 갈라서 따로 관리해왔습니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 휴양지 파할감 인근에서 관광객 등을 상대로 한 총기 테러가 발생해 26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다친 뒤 일촉즉발 긴장을 이어왔습니다.
인도는 파키스탄을 테러 배후로 지목했지만, 파키스탄은 연관성을 부인하고 있습니다.
이후 두 나라는 사실상 국경선인 실질통제선(LoC)을 두고 소규모 교전을 이어왔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AFP 통신에 따르면, 스테판 두자릭 유엔 사무총장 대변인은 성명에서 "사무총장은 실질통제선(LoC)과 국경을 넘어서는 인도의 군사 작전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면서 "양국 모두에 최대한의 군사적 자제를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세계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군사적 대립을 감당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인도는 이날 파키스탄이 점령하고 있는 카슈미르 지역 내 9곳을 미사일로 공격했고, 파키스탄도 인도를 겨냥해 보복 미사일 공격을 가한 상태입니다.
국제사회의 승인이 없이 핵무기를 보유하는 인도와 파키스탄이 미사일 공격을 주고받자 전 세계는 확전 가능성을 주시하며 노심초사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양국의 충돌이 빨리 끝났으면 한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트럼프는 백악관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참 유감이다. 우리는 그 일을 방금 들었다"면서 "그들은 수십 년, 수세기 동안 싸워왔다. 이 일이 매우 빨리 끝났으면 한다"고 말했습니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1947년 영국에서 독립한 뒤 세 차례 전면전을 치른 바 있습니다.
두 나라 모두 카슈미르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 분쟁 지역을 갈라서 따로 관리해왔습니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 휴양지 파할감 인근에서 관광객 등을 상대로 한 총기 테러가 발생해 26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다친 뒤 일촉즉발 긴장을 이어왔습니다.
인도는 파키스탄을 테러 배후로 지목했지만, 파키스탄은 연관성을 부인하고 있습니다.
이후 두 나라는 사실상 국경선인 실질통제선(LoC)을 두고 소규모 교전을 이어왔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