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으로 미국에 대한 투자를 발표한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들을 초청해, 그들을 일으켜 세우며 투자를 칭찬하는 한편 자신의 관세 정책 효과를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맞물려 미국 경제가 지난 1분기에 역성장한 것으로 나타난 것에 대해서는 전임 바이든 정부 탓으로 돌리면서 미국의 제조업 부흥을 이끌기 위한 자신의 경제정책이 성공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는 현지 시간 30일 백악관에서 20여 명의 글로벌 기업 CEO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미국 투자' 행사에서 "이 방에 참석한 기업들은 모두 합쳐 2조 달러 이상의 신규 (대미국) 투자를 발표했다"면서 "전체적으로는 8조 달러에 달하는데 이는 미국 역사상 전례 없는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을 가장 먼저 거명하며 "땡큐"라고 인사하고 현대차가 지난달 백악관에서 발표한 21억 달러(약 30조 원) 투자를 거론하고 그 투자의 하나로 진행되는 루이지애나주의 제철소 건설에 따른 일자리 창출을 언급한 뒤 재차 "호세, 땡큐, 뷰티풀"이라고 치하했습니다.
그러면서 "오늘 이 자리에 이름이 언급되지 않은 삼성조차도 관세를 이겨내기 위해 매우 큰 공장을 건설할 것이라고 오늘 아침에 발표했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재차 언급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낮 각료회의에서도 "회의 직전에 삼성이 관세 때문에 미국에 대규모 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엔비디아, 존슨앤드존슨, 일라이릴리, 제너럴일렉트릭(GE), 소프트뱅크, 도요타자동차 등 참석한 기업을 일일이 거명, CEO들이 자리에서 일어서게 한 뒤 그들의 투자 실적을 언급하고 "땡큐", "대단하다", "환상적이다" 등의 감탄사를 연발했습니다.
특히 새로 만들어진 모든 신규 투자, 신규 공장, 신규 일자리는 미국 경제가 강하다는 신호이며 미국 미래를 확신한다는 선언이라면서 "우리는 이런 것을 전에 본 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참석 CEO 가운데서는 GE, 엔비디아, 소프트뱅크 CEO가 연설대로 나와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을 평가했습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우리는 엔비디아의 기술을 다음 세대로 발전시키기 위해 모든 것을 미국에 구축할 것"이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 정책, 지원, 그리고 강력한 독려가 없었다면 미국에서의 제조업은 이처럼 빠른 속도로 발전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손정의(일본명 손 마사요시) 소프트뱅크 회장은 오픈AI, 오라클과 공동으로 발표한 5천억 달러(약 710조 원) 투자 계획을 다시 언급하면서 "이것은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인프라 투자이면서 인공지능(AI)을 위한 최대 규모의 인프라 투자"라며 "미국이 계속해서 AI의 리더십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업 소개에 앞서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등을 비롯한 각료들이 청중석 앞줄에 앉아있는 것을 보고 "왜 각료들이 그리 좋은 위치에 있는 것이냐"라면서 "여러분은 그 자리를 비즈니스 리더들에게 줬어야 한다. 우리는 그들의 돈을 원한다"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분기 GDP가 역성장한 것과 관련, "수입, 재고, 정부 지출 등 왜곡 요인을 제외한 핵심 GDP는 3%가 올라갔다"고 재차 주장하며 역성장을 바이든 정권의 탓으로 돌렸습니다.
또 이날 의약품에 대한 품목별 관세 부과를 예고한 것과 관련해서는 "엄청난 양의 제약회사가 미국으로 유입될 것인데 우리는 그들에게 그렇게 할 수 있는 시간을 줄 것"이라면서 "그 다음에는 관세 장벽을 세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맞물려 미국 경제가 지난 1분기에 역성장한 것으로 나타난 것에 대해서는 전임 바이든 정부 탓으로 돌리면서 미국의 제조업 부흥을 이끌기 위한 자신의 경제정책이 성공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는 현지 시간 30일 백악관에서 20여 명의 글로벌 기업 CEO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미국 투자' 행사에서 "이 방에 참석한 기업들은 모두 합쳐 2조 달러 이상의 신규 (대미국) 투자를 발표했다"면서 "전체적으로는 8조 달러에 달하는데 이는 미국 역사상 전례 없는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을 가장 먼저 거명하며 "땡큐"라고 인사하고 현대차가 지난달 백악관에서 발표한 21억 달러(약 30조 원) 투자를 거론하고 그 투자의 하나로 진행되는 루이지애나주의 제철소 건설에 따른 일자리 창출을 언급한 뒤 재차 "호세, 땡큐, 뷰티풀"이라고 치하했습니다.
그러면서 "오늘 이 자리에 이름이 언급되지 않은 삼성조차도 관세를 이겨내기 위해 매우 큰 공장을 건설할 것이라고 오늘 아침에 발표했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재차 언급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낮 각료회의에서도 "회의 직전에 삼성이 관세 때문에 미국에 대규모 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엔비디아, 존슨앤드존슨, 일라이릴리, 제너럴일렉트릭(GE), 소프트뱅크, 도요타자동차 등 참석한 기업을 일일이 거명, CEO들이 자리에서 일어서게 한 뒤 그들의 투자 실적을 언급하고 "땡큐", "대단하다", "환상적이다" 등의 감탄사를 연발했습니다.
특히 새로 만들어진 모든 신규 투자, 신규 공장, 신규 일자리는 미국 경제가 강하다는 신호이며 미국 미래를 확신한다는 선언이라면서 "우리는 이런 것을 전에 본 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참석 CEO 가운데서는 GE, 엔비디아, 소프트뱅크 CEO가 연설대로 나와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을 평가했습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우리는 엔비디아의 기술을 다음 세대로 발전시키기 위해 모든 것을 미국에 구축할 것"이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 정책, 지원, 그리고 강력한 독려가 없었다면 미국에서의 제조업은 이처럼 빠른 속도로 발전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손정의(일본명 손 마사요시) 소프트뱅크 회장은 오픈AI, 오라클과 공동으로 발표한 5천억 달러(약 710조 원) 투자 계획을 다시 언급하면서 "이것은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인프라 투자이면서 인공지능(AI)을 위한 최대 규모의 인프라 투자"라며 "미국이 계속해서 AI의 리더십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업 소개에 앞서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등을 비롯한 각료들이 청중석 앞줄에 앉아있는 것을 보고 "왜 각료들이 그리 좋은 위치에 있는 것이냐"라면서 "여러분은 그 자리를 비즈니스 리더들에게 줬어야 한다. 우리는 그들의 돈을 원한다"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분기 GDP가 역성장한 것과 관련, "수입, 재고, 정부 지출 등 왜곡 요인을 제외한 핵심 GDP는 3%가 올라갔다"고 재차 주장하며 역성장을 바이든 정권의 탓으로 돌렸습니다.
또 이날 의약품에 대한 품목별 관세 부과를 예고한 것과 관련해서는 "엄청난 양의 제약회사가 미국으로 유입될 것인데 우리는 그들에게 그렇게 할 수 있는 시간을 줄 것"이라면서 "그 다음에는 관세 장벽을 세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