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중 하나인 레딧의 공동 창업자가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 인수전에 뛰어들었습니다.
레딧 공동 창업자이자 벤처 투자가인 알렉시스 오하니언은 틱톡의 미국 사업을 인수해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운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틱톡은 크리에이터들에게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그 미래는 이들이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오하니언은 2005년 6월 대학 룸메이트였던 스티브 허프먼과 함께 레딧을 창업했고, 1년 뒤 레딧을 매각했다가 2014년에 다시 돌아와 회사를 재건하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이후 메이저리그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구단주였던 부동산 재벌 프랭크 맥코트가 이끄는 틱톡 인수를 위한 컨소시엄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맥코트가 전날 오하니언을 틱톡 인수를 위한 SNS 분야 전략 고문으로서 영입한다고 밝혔다고 전했습니다.
맥코트는 "오하니언은 SNS의 과거를 깊이 이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다"며 "프로젝트의 정당성을 입증하고 대중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들은 틱톡을 인수한 뒤 이용자들이 자신의 데이터 활용 및 공유 방식을 직접 통제할 수 있는 기술을 기반으로 앱을 운영한다는 계획입니다.
맥코트 외에 기술 기업가 제시 틴슬리와 2억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유명 유튜버 미스터 비스터(MrBeast) 등이 꾸린 투자자 그룹도 입찰에 참여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마이크로 소프트가 틱톡 인수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언급했습니다.
틱톡은 이른바 '틱톡 금지법' 시행을 목전에 둔 1월 19일 미국에서 서비스를 중단했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금지 조치 시행을 75일 연기하면서 서비스를 복구했습니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가 틱톡 인수자를 물색 중인 가운데 모회사 중국 바이트댄스는 매각 대신 미국에서 서비스를 중단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레딧 공동 창업자이자 벤처 투자가인 알렉시스 오하니언은 틱톡의 미국 사업을 인수해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운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틱톡은 크리에이터들에게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그 미래는 이들이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오하니언은 2005년 6월 대학 룸메이트였던 스티브 허프먼과 함께 레딧을 창업했고, 1년 뒤 레딧을 매각했다가 2014년에 다시 돌아와 회사를 재건하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이후 메이저리그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구단주였던 부동산 재벌 프랭크 맥코트가 이끄는 틱톡 인수를 위한 컨소시엄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맥코트가 전날 오하니언을 틱톡 인수를 위한 SNS 분야 전략 고문으로서 영입한다고 밝혔다고 전했습니다.
맥코트는 "오하니언은 SNS의 과거를 깊이 이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다"며 "프로젝트의 정당성을 입증하고 대중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들은 틱톡을 인수한 뒤 이용자들이 자신의 데이터 활용 및 공유 방식을 직접 통제할 수 있는 기술을 기반으로 앱을 운영한다는 계획입니다.
맥코트 외에 기술 기업가 제시 틴슬리와 2억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유명 유튜버 미스터 비스터(MrBeast) 등이 꾸린 투자자 그룹도 입찰에 참여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마이크로 소프트가 틱톡 인수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언급했습니다.
틱톡은 이른바 '틱톡 금지법' 시행을 목전에 둔 1월 19일 미국에서 서비스를 중단했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금지 조치 시행을 75일 연기하면서 서비스를 복구했습니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가 틱톡 인수자를 물색 중인 가운데 모회사 중국 바이트댄스는 매각 대신 미국에서 서비스를 중단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