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파리올림픽 중계 화면
AD
프랑스 파리 올림픽 조직위원회가 이번에는 아르헨티나 국기 대신 중국 오성홍기를 화면에 띄우는 실수를 저질렀다.
29일(현지 시간) 아르헨티나의 수영 선수 마카레나 세바요스가 여성 평영 100m 8강 경기에 참여하기 위해 입장할 때 대형 스크린에는 아르헨티나 국기가 아닌 중국 국기가 등장했다.
세바요스 선수는 오성홍기를 보고 믿을 수 없다는 듯이 두 번이나 다시 쳐다보면서도 평정심을 잃지 않고 웃으면서 입장했다.
현지 매체 인포바에는 당시 생중계를 하던 아르헨티나 곤살로 보나데오 캐스터는 "아르헨티나 국기가 아닌 중국 국기다. 믿을 수가 없다. 이번 경기엔 중국 선수가 출전도 하지 않는데 이런 실수가 났다"며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고 전했다.
대다수의 아르헨티나 시민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불쾌감을 드러냈다. 한국을 북한으로 호명하고 남수단 국가 대신 수단 국가를 튼 것은 분단국가를 헷갈린 무지에서 발생한 실수라고 한다면, 국기 색깔이나 국가 이름이 전혀 다른 아르헨티나와 중국을 혼동했는지 모르겠다는 것이다.
특히 아르헨티나 네티즌들은 "일부러 그런 것 같다"라면서 '음모론'을 펼치기도 했다. 2022년 카타르 월드컵 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가 프랑스를 물리치고 우승했고, 최근 아르헨티나 선수들이 코파 아메리카 우승 후 프랑스를 비하하는 인종차별적 노래를 불러서 프랑스와의 관계가 좋지 않은 점을 이유로 들었다.
현지 매체 페르필은 그다음에 소개된 리투아니아 선수의 경우엔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이 사용하는 개인중립선수(AIN) 국기를 보여줬으며, 이후엔 아예 국기를 보여주지 않은 점을 보도하며 "터무니없는 실수이긴 하지만, 시스템 에러인 것 같다"고 전했다.
디지털뉴스팀 이유나 기자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9일(현지 시간) 아르헨티나의 수영 선수 마카레나 세바요스가 여성 평영 100m 8강 경기에 참여하기 위해 입장할 때 대형 스크린에는 아르헨티나 국기가 아닌 중국 국기가 등장했다.
세바요스 선수는 오성홍기를 보고 믿을 수 없다는 듯이 두 번이나 다시 쳐다보면서도 평정심을 잃지 않고 웃으면서 입장했다.
현지 매체 인포바에는 당시 생중계를 하던 아르헨티나 곤살로 보나데오 캐스터는 "아르헨티나 국기가 아닌 중국 국기다. 믿을 수가 없다. 이번 경기엔 중국 선수가 출전도 하지 않는데 이런 실수가 났다"며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고 전했다.
대다수의 아르헨티나 시민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불쾌감을 드러냈다. 한국을 북한으로 호명하고 남수단 국가 대신 수단 국가를 튼 것은 분단국가를 헷갈린 무지에서 발생한 실수라고 한다면, 국기 색깔이나 국가 이름이 전혀 다른 아르헨티나와 중국을 혼동했는지 모르겠다는 것이다.
특히 아르헨티나 네티즌들은 "일부러 그런 것 같다"라면서 '음모론'을 펼치기도 했다. 2022년 카타르 월드컵 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가 프랑스를 물리치고 우승했고, 최근 아르헨티나 선수들이 코파 아메리카 우승 후 프랑스를 비하하는 인종차별적 노래를 불러서 프랑스와의 관계가 좋지 않은 점을 이유로 들었다.
현지 매체 페르필은 그다음에 소개된 리투아니아 선수의 경우엔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이 사용하는 개인중립선수(AIN) 국기를 보여줬으며, 이후엔 아예 국기를 보여주지 않은 점을 보도하며 "터무니없는 실수이긴 하지만, 시스템 에러인 것 같다"고 전했다.
디지털뉴스팀 이유나 기자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