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하얼빈 맥주
AD
중국 하얼빈 맥주가 생산한 '맥도 맥주'에서 곰팡이 독소인 데옥시니발레놀(DON·보미톡신)이 검출돼 논란이 되고 있다.
21일 중국 차오신문은 홍콩 소비자위원회가 시중에서 판매되는 30가지 일반 맥주의 성분을 테스트한 결과, 하얼빈 맥도 맥주에서 인체에 해로운 DON이 1㎏당 26마이크로그램이 검출됐다고 보도했다.
DON은 곰팡이 독소의 한 종류다. 특히 맥주에서 검출되는 DON은 보리가 발효 과정에서 곰팡이에 오염된 후 생성된 독소에서 유래한다.
논란의 맥주에서 검출된 DON의 양은 1㎏당 26마이크로그램(㎍)으로, 중국 국가표준인 1000㎍/1㎏보다는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소비자위원회는 이 정도 검출량은 위험하지 않은 수준이지만, 지속적으로 과음할 경우 메스꺼움과 구토, 설사,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얼빈 맥주 측은 "해당 제품은 중국 본토에서만 판매된다"며 "DON 검출량은 중국 국가 표준보다 훨씬 낮고,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식품 안전 기관의 기준보다 훨씬 낮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같은 해명에 중국 소비자들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중국 소셜미디어(SNS) 웨이보에는 "독소 검출이 문제라니까 '본토에서만 판매된다'는 해명은 뭐냐" "그래, 우리 본토인은 죽어야 마땅해" "하얼빈 맥주의 대응은 스스로 무덤을 파는 것" 등 비판이 이어졌다.
해당 맥주는 타오바오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공식 플래그십 스토어에서 더이상 판매되고 있지 않지만 일부 타사 매장에서는 여전히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편의점 등에서도 하얼빈 맥주를 판매하고 있지만 논란의 맥주는 수입되지 않는 제품이다.
디지털뉴스팀 이유나 기자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1일 중국 차오신문은 홍콩 소비자위원회가 시중에서 판매되는 30가지 일반 맥주의 성분을 테스트한 결과, 하얼빈 맥도 맥주에서 인체에 해로운 DON이 1㎏당 26마이크로그램이 검출됐다고 보도했다.
DON은 곰팡이 독소의 한 종류다. 특히 맥주에서 검출되는 DON은 보리가 발효 과정에서 곰팡이에 오염된 후 생성된 독소에서 유래한다.
논란의 맥주에서 검출된 DON의 양은 1㎏당 26마이크로그램(㎍)으로, 중국 국가표준인 1000㎍/1㎏보다는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소비자위원회는 이 정도 검출량은 위험하지 않은 수준이지만, 지속적으로 과음할 경우 메스꺼움과 구토, 설사,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얼빈 맥주 측은 "해당 제품은 중국 본토에서만 판매된다"며 "DON 검출량은 중국 국가 표준보다 훨씬 낮고,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식품 안전 기관의 기준보다 훨씬 낮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같은 해명에 중국 소비자들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중국 소셜미디어(SNS) 웨이보에는 "독소 검출이 문제라니까 '본토에서만 판매된다'는 해명은 뭐냐" "그래, 우리 본토인은 죽어야 마땅해" "하얼빈 맥주의 대응은 스스로 무덤을 파는 것" 등 비판이 이어졌다.
해당 맥주는 타오바오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공식 플래그십 스토어에서 더이상 판매되고 있지 않지만 일부 타사 매장에서는 여전히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편의점 등에서도 하얼빈 맥주를 판매하고 있지만 논란의 맥주는 수입되지 않는 제품이다.
디지털뉴스팀 이유나 기자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