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결혼 후 배후자에 대한 사랑은 여성이 남성보다 빨리 식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영국 더 타임스가 보도했습니다.
사우라브 바르그바 미국 카네기멜런대 경제학 교수는 최근 약혼한 사람부터 결혼한 지 수십 년 된 사람까지 성인 약 3천900명의 감정을 추적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바르그바 교수는 커플과 부부들이 열흘간, 30분마다 휴대전화를 통해 자신이 누구와 있고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보고한 내용을 토대로 이들의 심리를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약혼 또는 결혼한 지 3년 이상 된 여성이 상대에게 사랑을 느끼는 빈도는 약혼·결혼 기간이 2년 미만인 여성보다 60%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약혼 또는 결혼한 지 3년 이상 된 남성이 상대에게 사랑을 느끼는 빈도는 약혼·결혼 기간 2년 미만일 때보다 불과 0.4% 적어 차이가 거의 없었습니다.
상대에게 설렘을 느끼는 빈도에서도 약혼·결혼 기간에 따른 남녀 간 차이가 뚜렷했습니다
'설레는 사랑'의 감정의 경우 약혼·결혼 기간이 긴 여성들은 약혼·결혼 기간이 짧은 여성들과 비교했을 때 80% 가까이 줄었습니다.
반면 남성은 그 감소 폭이 30%로 훨씬 작았습니다.
어떤 요인이 남녀 간 차이를 만드는지 확실히 알 수 없지만, 바르그바 교수는 가사노동 분담 등이 영향을 줬을 수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또 자녀가 태어나면 남편을 향했던 사랑의 감정이 자녀에게 쏠리게 되는 등 여성이 사랑을 경험하는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결혼생활 초기에는 여성이 남성보다 사랑의 감정을 느끼는 빈도가 훨씬 더 높을 수 있지만, 결혼한 지 약 7년이 지나면 부부 모두 사랑을 느끼는 빈도가 거의 동일한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울러 최소 8시간 이상 떨어져 있던 부부는 결혼생활 기간과 관계 없이 사랑을 느끼는 경향성이 크게 뚜렷해져, '상대방의 부재가 사랑을 키운다'는 것이 확인됐습니다.
바르그바 교수는 "비록 낭만적인 열정과 사랑은 시간이 지나면서 사그라들지만, 계속 지속된다"는게 이번 연구 결과의 낙관적 해석이라고 말했습니다.
YTN 류제웅 (jwryo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사우라브 바르그바 미국 카네기멜런대 경제학 교수는 최근 약혼한 사람부터 결혼한 지 수십 년 된 사람까지 성인 약 3천900명의 감정을 추적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바르그바 교수는 커플과 부부들이 열흘간, 30분마다 휴대전화를 통해 자신이 누구와 있고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보고한 내용을 토대로 이들의 심리를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약혼 또는 결혼한 지 3년 이상 된 여성이 상대에게 사랑을 느끼는 빈도는 약혼·결혼 기간이 2년 미만인 여성보다 60%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약혼 또는 결혼한 지 3년 이상 된 남성이 상대에게 사랑을 느끼는 빈도는 약혼·결혼 기간 2년 미만일 때보다 불과 0.4% 적어 차이가 거의 없었습니다.
상대에게 설렘을 느끼는 빈도에서도 약혼·결혼 기간에 따른 남녀 간 차이가 뚜렷했습니다
'설레는 사랑'의 감정의 경우 약혼·결혼 기간이 긴 여성들은 약혼·결혼 기간이 짧은 여성들과 비교했을 때 80% 가까이 줄었습니다.
반면 남성은 그 감소 폭이 30%로 훨씬 작았습니다.
어떤 요인이 남녀 간 차이를 만드는지 확실히 알 수 없지만, 바르그바 교수는 가사노동 분담 등이 영향을 줬을 수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또 자녀가 태어나면 남편을 향했던 사랑의 감정이 자녀에게 쏠리게 되는 등 여성이 사랑을 경험하는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결혼생활 초기에는 여성이 남성보다 사랑의 감정을 느끼는 빈도가 훨씬 더 높을 수 있지만, 결혼한 지 약 7년이 지나면 부부 모두 사랑을 느끼는 빈도가 거의 동일한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울러 최소 8시간 이상 떨어져 있던 부부는 결혼생활 기간과 관계 없이 사랑을 느끼는 경향성이 크게 뚜렷해져, '상대방의 부재가 사랑을 키운다'는 것이 확인됐습니다.
바르그바 교수는 "비록 낭만적인 열정과 사랑은 시간이 지나면서 사그라들지만, 계속 지속된다"는게 이번 연구 결과의 낙관적 해석이라고 말했습니다.
YTN 류제웅 (jwryo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