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AP 연합뉴스
AD
최첨단 교육을 선도하던 스웨덴이 종이책과 연필을 사용하는 전통 방식을 강조하고 나섰다. 디지털화된 교육 방식이 아이들의 학습 능력을 저하시킨다는 지적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11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은 스웨덴 전역의 학교에서 종이책을 통한 수업과 필기 연습 등을 강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반면 태블릿 PC 사용이나 온라인 검색 등 전자 기기 사용은 줄었다.
지난해 스웨덴 중도우파 연합 정부의 교육부 장관으로 취임한 로타 에드홀름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에 대한 대표적인 비판자 중 한 명이다.
에드홀름 장관은 지난 3월 "학생들의 학습에는 실제 책이 중요하다"고 강조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유치원에서 디지털 기기 사용을 의무화하는 국가 교육 기관의 결정을 번복하기를 원한다고 발표했다. 교육부는 더 나아가 6세 미만 어린이들의 디지털 학습을 완전히 중단할 계획이라고 AP 통신에 전했다.
이는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교육 방식이 문해력을 비롯한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떨어뜨린다는 비판에 따른 것이다.
실제로 지난 2016년 국제읽기능력연구향상(PIRLS) 평가에서 555점을 받았던 스웨덴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점수는 2021년에 544점으로 떨어졌다. 여전히 싱가포르, 홍콩, 러시아, 잉글랜드, 핀란드 등에 이은 공동 7위로 우수한 점수지만, 스웨덴 정부는 점수 하락 자체에 주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교육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 혹은 스웨덴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이민자 학생의 증가 때문일 수도 있지만, 학교 수업 중 디지털 기기를 과도하게 사용해 핵심 과목에서 뒤쳐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스웨덴 왕립 카롤린스카 연구소도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서 "디지털 기기는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높이기보다는 오히려 떨어뜨린다는 명백한 과학적 증거가 있다"며 "인쇄된 교과서와 교사의 전문 지식을 통해 배우는 것에 초점을 돌려야 한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한편 유네스코(UNESCO) 역시 "디지털 기술이 학습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나 경제적 효율성이 과대평가됐을 수 있다"며 "당국이 디지털 기술을 성급하게 도입할 필요는 없다"고 경고한 바 있다.
YTN digital 서미량 (tjalfid@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1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은 스웨덴 전역의 학교에서 종이책을 통한 수업과 필기 연습 등을 강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반면 태블릿 PC 사용이나 온라인 검색 등 전자 기기 사용은 줄었다.
지난해 스웨덴 중도우파 연합 정부의 교육부 장관으로 취임한 로타 에드홀름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에 대한 대표적인 비판자 중 한 명이다.
에드홀름 장관은 지난 3월 "학생들의 학습에는 실제 책이 중요하다"고 강조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유치원에서 디지털 기기 사용을 의무화하는 국가 교육 기관의 결정을 번복하기를 원한다고 발표했다. 교육부는 더 나아가 6세 미만 어린이들의 디지털 학습을 완전히 중단할 계획이라고 AP 통신에 전했다.
이는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교육 방식이 문해력을 비롯한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떨어뜨린다는 비판에 따른 것이다.
실제로 지난 2016년 국제읽기능력연구향상(PIRLS) 평가에서 555점을 받았던 스웨덴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점수는 2021년에 544점으로 떨어졌다. 여전히 싱가포르, 홍콩, 러시아, 잉글랜드, 핀란드 등에 이은 공동 7위로 우수한 점수지만, 스웨덴 정부는 점수 하락 자체에 주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교육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 혹은 스웨덴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이민자 학생의 증가 때문일 수도 있지만, 학교 수업 중 디지털 기기를 과도하게 사용해 핵심 과목에서 뒤쳐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스웨덴 왕립 카롤린스카 연구소도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서 "디지털 기기는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높이기보다는 오히려 떨어뜨린다는 명백한 과학적 증거가 있다"며 "인쇄된 교과서와 교사의 전문 지식을 통해 배우는 것에 초점을 돌려야 한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한편 유네스코(UNESCO) 역시 "디지털 기술이 학습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나 경제적 효율성이 과대평가됐을 수 있다"며 "당국이 디지털 기술을 성급하게 도입할 필요는 없다"고 경고한 바 있다.
YTN digital 서미량 (tjalfid@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