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채 이자율, 디폴트 우려에 일부 기업 회사채 이자율보다 높아져...이례적 현상

美 국채 이자율, 디폴트 우려에 일부 기업 회사채 이자율보다 높아져...이례적 현상

2023.05.24. 오전 09:2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가장 대표적인 안전 자산으로 꼽히는 미국 국채의 이자율이 일부 기업의 회사채보다 높아지는 이례적인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현지시간 23일 마이크로소프트(MS)와 존슨앤드존슨(J&J) 등 우량기업이 발행한 회사채 이자율이 미국 단기 국채 이자율보다 낮아졌다고 보도했습니다.

채권시장 정보업체인 솔브데이터에 따르면 오는 8월 8일이 만기인 마이크로소프트(MS) 회사채 이자율은 4%를 살짝 상회하는 수준이지만, 8월 6일 만기인 미국 국채 이자율은 5.2%를 넘습니다.

채권 이자율이 낮아졌다는 것은 채권 가격이 상승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미국 기업이 발행한 회사채의 가격이 미국 국채 가격보다 높아진 것은 미국 연방정부의 채무 불이행(디폴트) 우려 때문입니다.

디폴트가 발생할 경우 미국 연방 정부의 미국 국채 이자 지급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국채를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들에게 예상치 못한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 국채 투자 비중이 높은 투자자들은 이자를 받지 못할 경우 현금 흐름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미국 정부의 재정 상황을 감안할 때 실제로 이 같은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은 작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지만, '만일의 사태'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투자자들의 시각입니다.

투자정보업체 인베스코의 미국 투자 분야 대표 매트 브릴은 "채권 투자를 할 경우 만기에 채권 발행자가 제대로 상환할 능력과 의사가 있는지를 따져봐야 한다"면서 "미국 연방정부의 상환 능력에는 문제가 없지만, 이자를 낼 의사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투자자들이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위험 회피 차원에서 신용도가 높은 우량기업의 회사채를 대안으로 지목했다는 것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존슨앤드존슨(J&J)은 신용평가기관들로부터 최상등급을 받은 기업입니다.

현금 보유액이 1천40억 달러(약 137조 원)에 달할 정도로 재정이 건실한 MS는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고, J&J도 기록적인 수익을 내고 있습니다.

한편 국채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면서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이 발행하는 '정크본드'는 오히려 반사이익을 얻는 분위기입니다.

정크본드로 분류된 회사채는 보통 국채 이자율에서 8%포인트 높은 이자율로 거래됐지만, 최근에는 국채와의 금리 차가 5%포인트 이하로 좁혀졌습니다.




YTN 김원배 (wb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