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뉴스] '원숭이두창' 확산보다 무섭게 퍼지는 편견

[더뉴스] '원숭이두창' 확산보다 무섭게 퍼지는 편견

2022.06.22. 오후 2:0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내일 세계보건기구, WHO가 원숭이두창 관련 긴급회의를 엽니다.

WHO는 이름에 대한 논의도 진행하고 있는데요.

가능한 빨리 원숭이두창을 대체할 새로운 명칭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원숭이두창'이란 이름 자체가 편견을 만든다는 지적과 함께 개명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돼왔습니다.

지난 1958년 덴마크 실험실에 있던 원숭이에서 처음 발견돼 이런 이름이 붙은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사실 원숭이는 숙주일 뿐 주로 설치류가 바이러스를 옮기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의도하지는 않았겠지만, 원숭이두창이 만드는 낙인도 있습니다.

지역, 그리고 인종과 관련된 편견입니다.

UN에이즈계획은 원숭이 두창과 관련해 특정 이미지에 집중된 보도가 낙인 효과를 키우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원숭이두창 관련 보도를 보면 대부분 그 사례로 흑인의 신체를 찍은 사진을 보여줍니다.

그동안 아프리카 풍토병으로 분류돼왔기 때문인데요.

최근 발병 현황을 보면 더 이상 풍토병이 아니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WHO 자료를 볼까요?

최근 원숭이두창 발병 지역인데요.

유럽에서 나온 확진자가 84%에 달했고,

12%는 미주에서 나왔습니다.

아프리카 지역에선 불과 3%, 64건이 보고됐습니다.

이름과 관련된 지침은 이미 있습니다.

WHO가 질병에 이름을 붙일 때 피하도록 한 단어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지명, 사람 이름, 동물, 직업 등을 꼽고 있습니다.

이런 기준을 정한 건 병명 자체가 특정 대상의 삶과 생계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코로나만 생각해봐도 초기에 썼던 '우한 바이러스'라는 표현을 이제는 사용하지 않죠.

대신 WHO는 증상이나 계절성, 병원체 등의 정보가 담긴 이름이 좋은 작명이라며 사례를 들기도 했습니다.

원숭이두창의 확산 속도보다 그 이름에 담긴 편견이 더 빨리 퍼지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질병과 관련된 비상사태 선포와 발 빠른 대처만큼 병명에 대한 논의가 중요한 이유입니다.



YTN 엄지민 (thumb@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