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이 중국 기관 33곳을 미국의 수출통제 대상에 올렸습니다.
AP통신은 상무부가 현지 시각 7일 중국의 33개 기관을 통상적인 검사를 할 수 없어 최종 소비자가 어디인지를 정확히 알 수 없는 이유로 더 엄격한 수출 통제를 하는 대상인 이른바 '미검증 리스트'에 포함했다고 전했습니다.
미검증 리스트에 오른 중국 기관은 대부분 전자 관련 기업이고 광학, 터빈 날개 관련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포함됐습니다.
이번 조처로 미국의 미검증 리스트에 오른 기관은 약 175곳으로 늘었고 중국 이외에 러시아와 아랍에미리트 기관도 미검증 리스트에 올라 있습니다.
미검증 리스트에 오르면 미국 수출업자가 이들 기관에 물품을 수출할 경우 미국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하고 수입업자는 자신이 합법적이며 미국의 규제를 따르겠다는 점을 입증해야 합니다.
AP통신은 이번 조처는 중국 기관들이 미검증 리스트에서 해제되려면 중국이 미국의 검사와 점검을 허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습니다.
YTN 강태욱 (taewook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AP통신은 상무부가 현지 시각 7일 중국의 33개 기관을 통상적인 검사를 할 수 없어 최종 소비자가 어디인지를 정확히 알 수 없는 이유로 더 엄격한 수출 통제를 하는 대상인 이른바 '미검증 리스트'에 포함했다고 전했습니다.
미검증 리스트에 오른 중국 기관은 대부분 전자 관련 기업이고 광학, 터빈 날개 관련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포함됐습니다.
이번 조처로 미국의 미검증 리스트에 오른 기관은 약 175곳으로 늘었고 중국 이외에 러시아와 아랍에미리트 기관도 미검증 리스트에 올라 있습니다.
미검증 리스트에 오르면 미국 수출업자가 이들 기관에 물품을 수출할 경우 미국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하고 수입업자는 자신이 합법적이며 미국의 규제를 따르겠다는 점을 입증해야 합니다.
AP통신은 이번 조처는 중국 기관들이 미검증 리스트에서 해제되려면 중국이 미국의 검사와 점검을 허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습니다.
YTN 강태욱 (taewook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