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1년 만에 일본을 찾은 여야 의원들이 2박 3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귀국했습니다.
한일 관계를 풀기 위해 어렵게 재개된 양국 정치권의 대화가 스가 총리 방한 등을 통해 실질적인 관계 개선으로 이어질지 주목되는데요.
도쿄를 연결합니다. 이경아 특파원!
여야 의원들이 일본 정계 주요 인사들을 만나서 교류와 협력을 강조했는데요.
앞으로 한일 의원들이 어떤 일을 하겠다는 겁니까?
[기자]
네. 한일의원연맹 김진표 회장 등 여야 의원들은 귀국 전 기자들과 만나 이번 방일 기간의 성과와 앞으로의 계획을 밝혔습니다.
일단 올해 안에 양국 의원연맹이 온라인 총회를 열고, 내년 1월에는 한일 각 분야 지식인이 참석하는 세미나를 열어 양국의 교류 협력 방안을 논의할 계획인데요.
도쿄올림픽 전에 한일 간의 다양한 교류 행사를 열 수 있도록 양국 의원연맹이 긴밀히 협의하기로 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런 교류는 결국 강제동원 배상 문제 등 한일 간 핵심 현안에 대해 양국 정상이 결단을 내릴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의원들은 설명했습니다.
[앵커]
최근 한일 정치권 대화가 이어지면서 스가 총리의 한국 방문이 성사될지 주목되는 상황인데요.
어제 스가 총리와의 만남에서도 이 얘기가 나왔죠?
[기자]
네. 우리 정부는 올 연말 개최를 목표로 하고 있는 한중일 정상회담에 스가 총리가 참석할 것을 계속 요청해 왔습니다.
방한이 성사된다면 양국 관계 개선에 중대한 신호탄이 될 전망이어서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어제 스가 총리를 만난 김진표 회장도 한국 방문을 다시 요청했습니다.
함께 들어보시죠.
[김진표 / 한일의원연맹 회장 : (스가 총리는) 한국이 징용공 문제에 대해서 좀 진전된 입장을 제시해 주면 좋겠다는 것을 거듭 얘기를 하셔서 그 문제는 청와대에 전달하겠다고 말씀을 드렸고요. 다만 저는 그럴수록 양국 정상들이 가급적 빠른 시간 안에 만나서 허심탄회하게 모든 문제를 다 털어놓고 소통하고 결단할 필요가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여야 의원들과 스가 총리의 만남에 대해 요미우리 신문은 외무성 간부의 말을 인용해 한국에서 해결책을 가져오지 않았다고 전했습니다.
지금과 같은 상황이면 한국을 방문하기 어렵다는 얘기인데요.
김진표 회장은 그러나 강제동원 배상 기업의 자산을 현금화 하지 않겠다는 보증을 스가 총리가 방한의 구체적인 조건으로 내건 사실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습니다.
또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도움을 받아야 할 현안도 있기 때문에 스가 총리 방한이 강제동원 배상 문제와 직접 연결되는 것은 아니라며 일본이 종합적으로 판단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앵커]
한국 의원들에 앞서 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이 일본을 방문해 스가 총리를 만나지 않았습니까?
대화가 상당히 빨라지는 분위기인데 앞으로 양국 관계, 어떻게 전개될까요?
[기자]
악화한 양국 관계와 코로나19 확산 속에 어렵게 일본을 찾은 여야 의원들이 대화 분위기를 이끌어 낸 점은 의의가 있습니다.
한일의원연맹 간사장인 김석기 국민의힘 의원도 박지원 원장이 다녀간 지 얼마 되지 않아 스가 총리가 한국 의원들을 만난 것 자체가 우호적인 생각이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번 방일 기간 일본 정계 인사들을 만나면서 지난해와는 분위기가 달라진 점을 느꼈다고 밝히기도 했는데요.
수교 이래 최악으로 평가받는 한일 관계 속에 이대로 갈 수 없다는 인식에 있어서는 양국 정치권이 공통적입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일본이 받아들일 수 있는 해법을 한국이 가져와야 풀 수 있다는 입장을 바꾸지 않고 있습니다.
한일 양국 간에 관계 개선과 구체적인 방식을 놓고 온도 차이가 여전히 존재하는 상황입니다.
우리 정부는 양국 정상의 정치적 결단으로 주요 현안을 일괄 타결하는 방안이 바람직하지만 양측 이견이 큰 만큼 도쿄올림픽 전에 가능한 것부터 풀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핵심 현안에 대해 한일 외교 당국은 물밑에서 계속 협의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어떤 결과를 만들어낼 지는 좀 더 시간을 갖고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도쿄에서 YTN 이경아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년 만에 일본을 찾은 여야 의원들이 2박 3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귀국했습니다.
한일 관계를 풀기 위해 어렵게 재개된 양국 정치권의 대화가 스가 총리 방한 등을 통해 실질적인 관계 개선으로 이어질지 주목되는데요.
도쿄를 연결합니다. 이경아 특파원!
여야 의원들이 일본 정계 주요 인사들을 만나서 교류와 협력을 강조했는데요.
앞으로 한일 의원들이 어떤 일을 하겠다는 겁니까?
[기자]
네. 한일의원연맹 김진표 회장 등 여야 의원들은 귀국 전 기자들과 만나 이번 방일 기간의 성과와 앞으로의 계획을 밝혔습니다.
일단 올해 안에 양국 의원연맹이 온라인 총회를 열고, 내년 1월에는 한일 각 분야 지식인이 참석하는 세미나를 열어 양국의 교류 협력 방안을 논의할 계획인데요.
도쿄올림픽 전에 한일 간의 다양한 교류 행사를 열 수 있도록 양국 의원연맹이 긴밀히 협의하기로 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런 교류는 결국 강제동원 배상 문제 등 한일 간 핵심 현안에 대해 양국 정상이 결단을 내릴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의원들은 설명했습니다.
[앵커]
최근 한일 정치권 대화가 이어지면서 스가 총리의 한국 방문이 성사될지 주목되는 상황인데요.
어제 스가 총리와의 만남에서도 이 얘기가 나왔죠?
[기자]
네. 우리 정부는 올 연말 개최를 목표로 하고 있는 한중일 정상회담에 스가 총리가 참석할 것을 계속 요청해 왔습니다.
방한이 성사된다면 양국 관계 개선에 중대한 신호탄이 될 전망이어서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어제 스가 총리를 만난 김진표 회장도 한국 방문을 다시 요청했습니다.
함께 들어보시죠.
[김진표 / 한일의원연맹 회장 : (스가 총리는) 한국이 징용공 문제에 대해서 좀 진전된 입장을 제시해 주면 좋겠다는 것을 거듭 얘기를 하셔서 그 문제는 청와대에 전달하겠다고 말씀을 드렸고요. 다만 저는 그럴수록 양국 정상들이 가급적 빠른 시간 안에 만나서 허심탄회하게 모든 문제를 다 털어놓고 소통하고 결단할 필요가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여야 의원들과 스가 총리의 만남에 대해 요미우리 신문은 외무성 간부의 말을 인용해 한국에서 해결책을 가져오지 않았다고 전했습니다.
지금과 같은 상황이면 한국을 방문하기 어렵다는 얘기인데요.
김진표 회장은 그러나 강제동원 배상 기업의 자산을 현금화 하지 않겠다는 보증을 스가 총리가 방한의 구체적인 조건으로 내건 사실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습니다.
또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도움을 받아야 할 현안도 있기 때문에 스가 총리 방한이 강제동원 배상 문제와 직접 연결되는 것은 아니라며 일본이 종합적으로 판단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앵커]
한국 의원들에 앞서 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이 일본을 방문해 스가 총리를 만나지 않았습니까?
대화가 상당히 빨라지는 분위기인데 앞으로 양국 관계, 어떻게 전개될까요?
[기자]
악화한 양국 관계와 코로나19 확산 속에 어렵게 일본을 찾은 여야 의원들이 대화 분위기를 이끌어 낸 점은 의의가 있습니다.
한일의원연맹 간사장인 김석기 국민의힘 의원도 박지원 원장이 다녀간 지 얼마 되지 않아 스가 총리가 한국 의원들을 만난 것 자체가 우호적인 생각이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번 방일 기간 일본 정계 인사들을 만나면서 지난해와는 분위기가 달라진 점을 느꼈다고 밝히기도 했는데요.
수교 이래 최악으로 평가받는 한일 관계 속에 이대로 갈 수 없다는 인식에 있어서는 양국 정치권이 공통적입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일본이 받아들일 수 있는 해법을 한국이 가져와야 풀 수 있다는 입장을 바꾸지 않고 있습니다.
한일 양국 간에 관계 개선과 구체적인 방식을 놓고 온도 차이가 여전히 존재하는 상황입니다.
우리 정부는 양국 정상의 정치적 결단으로 주요 현안을 일괄 타결하는 방안이 바람직하지만 양측 이견이 큰 만큼 도쿄올림픽 전에 가능한 것부터 풀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핵심 현안에 대해 한일 외교 당국은 물밑에서 계속 협의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어떤 결과를 만들어낼 지는 좀 더 시간을 갖고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도쿄에서 YTN 이경아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