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11월 27일 목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먼저 한국일보는 '고무줄 혼인신고'가 늘어나는 현실을 짚었습니다.
결혼식은 올렸어도 혼인신고를 안 했거나아직 결혼식은 안 했어도 혼인신고는 미리 하는 건데요.
배경은 바로 '주거난'입니다.
혼인신고 여부에 따라 주거 정책과 대출 조건이 극명하게 달라지죠.
그래서 혼인신고를 할지 말지를 두고 계산기를 두드려야 합니다.
즉 '보금자리 전략'이 된 겁니다.
지연 혼인신고 비율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1년 이상 혼인신고를 미룬 비율은 지난해 19%까지 증가했습니다.
5쌍 중 1쌍은 혼인신고 안 한단 얘기입니다.
2년 넘게 미룬 비율도 작년에 8.8%까지 올라갔습니다.
드물긴 하지만 반대로 혼인신고부터 먼저 하는 경우도 있고요.
적어도 기혼이어서 손해를 보는 일은 없어야 하지 않을까요.
신혼부부가 큰 걱정 없이 보금자리를 마련하게 하는 대책이 필요하단 지적이 나옵니다.
다음 기사는 우리나라에도 '자율주행 실증도시'가 생긴다는 내용입니다.
정부가 어제 발표한 '자율주행차 상용화'목표를 경향신문이 정리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차량 자율주행 기술은 레벨3, 조건부 자동화 수준입니다.
자동화 구간에서도 특정 구간에선 운전자 개입이 필요한 단계인데요.
미국과 중국은 운전자 개입 없이도 주행이가능한 레벨4 수준에 와있는데우리도 2027년엔 레벨4 수준을 상용화한다는 게 정부의 목표입니다.
국토부는 우선 특정 시군을 자율주행 실증도시로 만드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자율주행 자동차 100대 이상을 투입해서 데이터를 학습시킨다는 계획입니다.
주행 데이터 확보, 사용과 관련된 규제도완화되고요.
자율주행차가 사고가 났을 때 책임 주체를 명확히 하는 법 개정도 내년쯤 추진될 예정입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중국 선전 같은 자율주행 실증도시가 우리나라 어디에 생길지도 궁금한데요.
정부 목표대로 2027년엔 자율주행 레벨 4에연착륙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끝으로 동아일보입니다.
AI로 찍어낸 전자책들이 서울대 도서관에 버젓이 비치돼있다고 합니다.
'딸깍 클릭'으로 만들어진 전자책이 최소 9천 권인데 오류 범벅입니다.
'넓다'의 발음이 '널브다'라며 기초 문법부터 대놓고 틀리기도 하고요.
설국이 '눈국'으로 오역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칸트가 쓴 책인데 원전을 고대 그리스 역사가가 썼다고 표기한 사례까지, 민망한 오류들이 넘쳐납니다.
학계나 출판계에서 AI 활용은 이미 일상화됐죠.
하지만 별다른 감수를 거치지 않은 전자책이 무더기로 만들어진다는 게문제입니다.
서울대 측은 해당 서적들이 대형 서점의 구독 플랫폼을 통해 유입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관련 윤리와 규범이 없으면 출판계와 학계엔 더 큰 혼란이 올 수도 있겠죠.
전문가들은 허위정보를 선별하고 검증하는큐레이터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는데요.
대학과 공공도서관들이 책 선정 기준을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어 보이네요.
11월 27일 아침 신문 살펴봤습니다.
지금까지 스타트 브리핑이었습니다.
YTN 정채운 (jcw17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1월 27일 목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먼저 한국일보는 '고무줄 혼인신고'가 늘어나는 현실을 짚었습니다.
결혼식은 올렸어도 혼인신고를 안 했거나아직 결혼식은 안 했어도 혼인신고는 미리 하는 건데요.
배경은 바로 '주거난'입니다.
혼인신고 여부에 따라 주거 정책과 대출 조건이 극명하게 달라지죠.
그래서 혼인신고를 할지 말지를 두고 계산기를 두드려야 합니다.
즉 '보금자리 전략'이 된 겁니다.
지연 혼인신고 비율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1년 이상 혼인신고를 미룬 비율은 지난해 19%까지 증가했습니다.
5쌍 중 1쌍은 혼인신고 안 한단 얘기입니다.
2년 넘게 미룬 비율도 작년에 8.8%까지 올라갔습니다.
드물긴 하지만 반대로 혼인신고부터 먼저 하는 경우도 있고요.
적어도 기혼이어서 손해를 보는 일은 없어야 하지 않을까요.
신혼부부가 큰 걱정 없이 보금자리를 마련하게 하는 대책이 필요하단 지적이 나옵니다.
다음 기사는 우리나라에도 '자율주행 실증도시'가 생긴다는 내용입니다.
정부가 어제 발표한 '자율주행차 상용화'목표를 경향신문이 정리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차량 자율주행 기술은 레벨3, 조건부 자동화 수준입니다.
자동화 구간에서도 특정 구간에선 운전자 개입이 필요한 단계인데요.
미국과 중국은 운전자 개입 없이도 주행이가능한 레벨4 수준에 와있는데우리도 2027년엔 레벨4 수준을 상용화한다는 게 정부의 목표입니다.
국토부는 우선 특정 시군을 자율주행 실증도시로 만드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자율주행 자동차 100대 이상을 투입해서 데이터를 학습시킨다는 계획입니다.
주행 데이터 확보, 사용과 관련된 규제도완화되고요.
자율주행차가 사고가 났을 때 책임 주체를 명확히 하는 법 개정도 내년쯤 추진될 예정입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중국 선전 같은 자율주행 실증도시가 우리나라 어디에 생길지도 궁금한데요.
정부 목표대로 2027년엔 자율주행 레벨 4에연착륙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끝으로 동아일보입니다.
AI로 찍어낸 전자책들이 서울대 도서관에 버젓이 비치돼있다고 합니다.
'딸깍 클릭'으로 만들어진 전자책이 최소 9천 권인데 오류 범벅입니다.
'넓다'의 발음이 '널브다'라며 기초 문법부터 대놓고 틀리기도 하고요.
설국이 '눈국'으로 오역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칸트가 쓴 책인데 원전을 고대 그리스 역사가가 썼다고 표기한 사례까지, 민망한 오류들이 넘쳐납니다.
학계나 출판계에서 AI 활용은 이미 일상화됐죠.
하지만 별다른 감수를 거치지 않은 전자책이 무더기로 만들어진다는 게문제입니다.
서울대 측은 해당 서적들이 대형 서점의 구독 플랫폼을 통해 유입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관련 윤리와 규범이 없으면 출판계와 학계엔 더 큰 혼란이 올 수도 있겠죠.
전문가들은 허위정보를 선별하고 검증하는큐레이터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는데요.
대학과 공공도서관들이 책 선정 기준을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어 보이네요.
11월 27일 아침 신문 살펴봤습니다.
지금까지 스타트 브리핑이었습니다.
YTN 정채운 (jcw17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