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 브리핑] 내란 재판 중계 '명암'... "짜깁기 편집 쇼츠는 부작용"

[스타트 브리핑] 내란 재판 중계 '명암'... "짜깁기 편집 쇼츠는 부작용"

2025.11.26. 오전 06:3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11월 26일 수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먼저 서울신문입니다.

미국 연중 최대 할인행사인 '블랙 프라이데이'.매년 이맘때쯤이면 소비자들을 설레게 하곤 하죠. 하지만 미친 환율 때문에 올해 우리나라에선 큰 영향이 없을 것 같습니다. 블프를 포기하고 차라리 중국이나 일본에서직구를 하겠다는 사람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할인율이 높은 상품이라 해도, 원화 기준으론 할인 혜택이 크지 않은 거죠. 국내 가격과 별 차이가 없다 보니 "올해 블프는 없는 거나 마찬가지"란 말도 나옵니다. 해외 직구 소비자들에게 배송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도 대목이 사라진분위기입니다. 상황이 이러자 미국 대신 중국이나 일본으로 눈을 돌리는 직구족들도 많아지고있습니다. 최근 3년간 4분기 온라인 쇼핑 직구 규모를 비교해봐도 미국 직구 구매액은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반면 중국과 일본은 늘어나고 있고요. 고환율이 길어질수록 소비자들은 미국 시장엔 지갑을 닫을 수밖에 없고요. 해외 직구 시장은 점점 더 중국과 일본 중심으로 이동할 거로 보이네요.

다음은 내란 재판 중계의 명암을 짚은국민일보 기사입니다.

베일 속 계엄에 대한 국민의 알 권리 충족 차원에선 긍정적이란 평가가 나오는데요. 하지만 부작용이 만만치 않습니다. 재판 중계 쇼츠 영상들의 제목이나 섬네일을 한번 볼까요. '변호인에게 털려버린 부장판사' 등 자극적인 게 많습니다. 재판 과정 중 극히 일부만 잘라내 만든 쇼츠를 유튜브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문제는 재판 내용 앞뒤를 다 잘라서 내용을 왜곡할 우려가 크다는 점입니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변호인들은 이번에 법정 소란과 재판부 비난으로 논란이 됐죠. 이들은 유튜브 채널도 따로 운영하고 있는데 재판 중계 영상을 올리되 변호인단의 법정 주장만 편집해서 투쟁 도구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언론사가 올리는 영상은 법원이 조치할 수 있지만, 일반 유튜버들 영상까지 단속하기는 어렵습니다. 앞뒤 자르고 짜깁기로 편집된 영상은 재판 진행 이해를 방해할 수 있다고 신문은 지적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기사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딸 주애가 북한 TV에 아버지만큼 자주 나왔다는 내용입니다.

일본 닛케이신문이 조선중앙TV 영상을 분석한 내용을 한국일보가 정리했습니다. 지난 3년간 주애는 총 600여 차례 등장했습니다. 특히 지난해부터 출연 횟수가 급격하게 늘었고 올해는 한 달 평균 24일 이상 방송에 나왔습니다. 김정은 위원장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고, 어머니인 리설주 여사보단 훨씬 많은 횟수입니다. 주애가 등장하는 영상은 대부분 선전 영상이었습니다. 이전엔 김정은의 뒤편이나 리설주의 옆에있는 모습이 많이 보였다면2023년부턴 아버지와 나란히 앉은 모습이 자주 포착됐습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도 주애를표현할 때 후계 구도를 암시하는 단어를 쓰기도 했습니다. 김정은 정권이 주애를 이렇게 의도적으로언론에 노출시키는 의도는 분명합니다. 세습 통치를 강화하기 위함이라고 풀이됩니다.

11월 26일 아침 신문 살펴봤습니다.

지금까지 스타트 브리핑이었습니다.


YTN 정채운 (jcw17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