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SNS
AD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에서 일하던 20대 직원이 숨진 사건을 두고 과로사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일부 의사들이 "우리도 주 100시간씩 일한다"며 불만을 내비쳤다.
29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런던 베이글 과로사 기사에 본인들이 더 힘들다고 주장하는 의사들'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해당 게시물에는 의사로 추정되는 누리꾼들이 남긴 글이 다수 담겼다.
작성자 A씨는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주 80시간 과로사가 이렇게 이슈될 일인가"라고 의문을 제기하며 "물론 돌아가신 분이야 안타깝고, 산재 받았으면 좋겠다. 하지만 주 100시간씩 일하면서 '처단한다'는 협박을 듣고 있는 직종도 있다"고 적었다.
이어 "자영업자들도 물론 (근무 시간이) 주 80시간을 넘을 거다. 거기에 사람마다 역치가 다르다고 주장하는 건 오버라고 생각한다"라면서 "선택적 공감이 역겹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전공의들의 장시간 노동은 통계로 확인된다. 전국전공의노동조합 조사 결과 전공의의 53.1%가 주 72시간 이상, 27.8%는 주 80시간 초과 근무를 하고 있었으며 3.3%는 주 104시간 이상 근무한다고 답변했다.
이에 다른 의사들도 "법적으로 당당히 주 52시간 이상 굴려도 되는 직업은 의사(전공의)뿐이다. 심하면 주 130시간도 일했는데 그 상한을 주 80시간으로 정해둔 게 불과 몇 년 전이지만, 일선 현장에선 지키고 있는지 모르겠다", "젊은 의사들은 다 주 80시간 이상 일한다", "왜 베이커리에서 일한 사람의 근무 조건은 이슈가 되는데 전공의들에게는 당연한 거냐" 등 반응을 보이며 A씨의 글에 공감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온라인상에서는 비판이 거세다.
누리꾼들은 "사람 늘려준다니까 파업을 하더니 어쩌라는 거냐", "그럼 의사 그만둬라", "모두의 근로 환경이 나아질 수도 있도록 연대를 하면 될 일 아닌가?" 등 비판이 이어졌다.
앞서 전공의들은 지난 2월부터 8월까지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정책에 반발해 집단 사직 및 파업을 벌인 바 있다.
최근 런베뮤 인천점에서 근무하던 한 직원이 지난 7월 16일 회사 숙소에서 숨진 채 발견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파장이 일고 있다. 유족에 따르면 고인은 런베뮤 인천점 오픈 당시 주당 80시간이 넘는 장시간 노동을 했으며, 직원 숙소에서 숨진 채 발견되기 전날에는 약 15시간 동안 식사도 하지 못한 채 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족 측은 회사가 과로사 의혹을 부정하며 자료 제공을 거부해왔으며, 고인의 근로계약서는 주 14시간 이상 초과근로를 기준으로 작성돼 주 52시간 상한제를 위반하고 있고 실제 근무 시간은 이보다도 훨씬 길다고 주장 중이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9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런던 베이글 과로사 기사에 본인들이 더 힘들다고 주장하는 의사들'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해당 게시물에는 의사로 추정되는 누리꾼들이 남긴 글이 다수 담겼다.
작성자 A씨는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주 80시간 과로사가 이렇게 이슈될 일인가"라고 의문을 제기하며 "물론 돌아가신 분이야 안타깝고, 산재 받았으면 좋겠다. 하지만 주 100시간씩 일하면서 '처단한다'는 협박을 듣고 있는 직종도 있다"고 적었다.
이어 "자영업자들도 물론 (근무 시간이) 주 80시간을 넘을 거다. 거기에 사람마다 역치가 다르다고 주장하는 건 오버라고 생각한다"라면서 "선택적 공감이 역겹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전공의들의 장시간 노동은 통계로 확인된다. 전국전공의노동조합 조사 결과 전공의의 53.1%가 주 72시간 이상, 27.8%는 주 80시간 초과 근무를 하고 있었으며 3.3%는 주 104시간 이상 근무한다고 답변했다.
이에 다른 의사들도 "법적으로 당당히 주 52시간 이상 굴려도 되는 직업은 의사(전공의)뿐이다. 심하면 주 130시간도 일했는데 그 상한을 주 80시간으로 정해둔 게 불과 몇 년 전이지만, 일선 현장에선 지키고 있는지 모르겠다", "젊은 의사들은 다 주 80시간 이상 일한다", "왜 베이커리에서 일한 사람의 근무 조건은 이슈가 되는데 전공의들에게는 당연한 거냐" 등 반응을 보이며 A씨의 글에 공감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온라인상에서는 비판이 거세다.
누리꾼들은 "사람 늘려준다니까 파업을 하더니 어쩌라는 거냐", "그럼 의사 그만둬라", "모두의 근로 환경이 나아질 수도 있도록 연대를 하면 될 일 아닌가?" 등 비판이 이어졌다.
앞서 전공의들은 지난 2월부터 8월까지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정책에 반발해 집단 사직 및 파업을 벌인 바 있다.
최근 런베뮤 인천점에서 근무하던 한 직원이 지난 7월 16일 회사 숙소에서 숨진 채 발견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파장이 일고 있다. 유족에 따르면 고인은 런베뮤 인천점 오픈 당시 주당 80시간이 넘는 장시간 노동을 했으며, 직원 숙소에서 숨진 채 발견되기 전날에는 약 15시간 동안 식사도 하지 못한 채 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족 측은 회사가 과로사 의혹을 부정하며 자료 제공을 거부해왔으며, 고인의 근로계약서는 주 14시간 이상 초과근로를 기준으로 작성돼 주 52시간 상한제를 위반하고 있고 실제 근무 시간은 이보다도 훨씬 길다고 주장 중이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