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수사 맞물린 정당 해산 심판...청구 가능성은?

특검 수사 맞물린 정당 해산 심판...청구 가능성은?

2025.10.19. 오전 05:2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특검 수사가 반환점을 돌면서 정치권에서 정당 해산 심판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특검 수사 결과는 물론이고 대통령 결단까지 있어야 하는 만큼 실제 청구될지는 미지수입니다.

김영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당 해산 심판에 대한 법무부 장관의 최근 발언은 이전보다는 비교적 구체적이었고 그만큼 야당을 더 자극했습니다.

[정성호 / 법무부 장관 (지난 14일) : 계엄을 부화수행하기 위해서 그런 고의를 갖고 했다는 것들이 지금 수사 과정에서 드러난다고 하면 그에 따른 어떤 처분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정당 해산 심판은 헌법과 헌법재판소법에 근거합니다.

정당의 목적이나 활동이 민주적 기본질서를 지키지 않았을 때 정부가 청구하고 헌법재판소가 판단합니다.

국민의힘을 향한 정당 해산 압박은 내란 특검 수사와 맞물려있습니다.

특검은 지난해 12월 원내대표였던 추경호 의원을 포함한 일부 의원들이 계엄 해제 결의안 표결을 방해했다는 의혹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국헌 문란 목적의 위헌적인 비상계엄에 동조한 행위가 민주적 기본질서에 반한다는 논리입니다.

특검 수사가 윤곽을 드러내는 시점에는 어느 방향이든 정부·여당의 움직임이 가시화될 것으로 보이는데, 숙고를 거듭할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 헌정사에서 정부가 정당 해산 심판을 청구한 건 10여 년 전 해산이 결정된 통합진보당 사례가 유일합니다.

[박한철 / 당시 헌법재판소장 (지난 2014년) : 피청구인 주도세력이 주장하는 진보적 민주주의는 북한의 대남 혁명전략과 거의 모든 점에서 전체적으로 같거나 매우 유사합니다.]

당시 헌법재판소는 정당 해산 결정까지 내리려면 정당의 활동이나 목적이 민주적 기본질서에 실질적인 해악을 끼칠 수 있는 구체적 위험성을 초래해야 한다고 봤습니다.

단순한 위반이나 저촉으로는 사유가 되지 않는다는 건데 그만큼 엄격하다는 얘기입니다.

국무회의 심의를 거치기 때문에 정당 해산 심판 청구는 사실상 대통령의 결단에 가깝습니다.

게다가 국회에서 100석 넘는 의석을 가진 국민의힘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정치적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YTN 김영수입니다.


영상편집 : 신수정
디자인 : 김진호


YTN 김영수 (yskim2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