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재 전 장관 "계엄 선포 따른 통상적인 업무"
재판부, 영장 기각하며 "충분한 공방 있어야" 판단
특검 "박성재, 윤석열과 집무실서 상당 시간 대화"
"계엄의 위법성 인식 다툼 없어…영장 재청구 방침"
재판부, 영장 기각하며 "충분한 공방 있어야" 판단
특검 "박성재, 윤석열과 집무실서 상당 시간 대화"
"계엄의 위법성 인식 다툼 없어…영장 재청구 방침"
AD
[앵커]
내란 특검이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의 구속 영장을 다시 청구하겠단 방침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한덕수 전 국무총리에 이어 박 전 장관의 영장도 기각된 만큼, 수사엔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권준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법원이 밝힌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의 구속영장 기각 사유는 계엄의 위법성을 인식하게 된 경위와 객관적으로 취한 조치의 위법성의 존재 여부나 정도에서 다툴 여지가 있다는 겁니다.
그동안 박 전 장관은 통상적인 업무를 했을 뿐이라고 반박해왔는데,
[박성재 / 전 법무부 장관 : 특검의 영장은 지나친 억측과 논리 비약으로 잘못된 자료를 근거로 한 무리한 청구였다고 생각합니다.]
재판부 역시, 충분한 공방을 통해 위법 행위가 있었는지 가려질 필요가 있다고 본 겁니다.
이에 대해 특검은 재판부의 기각 사유가 객관적으로 인정되는 사실과 너무 동떨어져 있어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계엄 당일 박 전 장관이 대통령 집무실에서 상당한 시간 윤석열 전 대통령과 대화를 나눈 정황 등을 보면, 계엄의 위법성을 인식한 건 다툼의 여지가 없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법원에 박 전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재청구하겠단 방침을 밝혔습니다.
법원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에 이어 박 전 장관의 영장마저 받아들이지 않은 상황에서, 특검의 영장 재청구 결과가 향후 수사의 주요 분기점이 될 전망입니다.
또 우선 법원과 주요 쟁점에 대한 판단이 엇갈린 만큼, 막바지에 이른 계엄 국무회의 관련 수사도 속도 조절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YTN 권준수입니다.
영상편집 : 문지환
디자인 : 정하림
YTN 권준수 (kjs81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내란 특검이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의 구속 영장을 다시 청구하겠단 방침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한덕수 전 국무총리에 이어 박 전 장관의 영장도 기각된 만큼, 수사엔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권준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법원이 밝힌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의 구속영장 기각 사유는 계엄의 위법성을 인식하게 된 경위와 객관적으로 취한 조치의 위법성의 존재 여부나 정도에서 다툴 여지가 있다는 겁니다.
그동안 박 전 장관은 통상적인 업무를 했을 뿐이라고 반박해왔는데,
[박성재 / 전 법무부 장관 : 특검의 영장은 지나친 억측과 논리 비약으로 잘못된 자료를 근거로 한 무리한 청구였다고 생각합니다.]
재판부 역시, 충분한 공방을 통해 위법 행위가 있었는지 가려질 필요가 있다고 본 겁니다.
이에 대해 특검은 재판부의 기각 사유가 객관적으로 인정되는 사실과 너무 동떨어져 있어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계엄 당일 박 전 장관이 대통령 집무실에서 상당한 시간 윤석열 전 대통령과 대화를 나눈 정황 등을 보면, 계엄의 위법성을 인식한 건 다툼의 여지가 없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법원에 박 전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재청구하겠단 방침을 밝혔습니다.
법원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에 이어 박 전 장관의 영장마저 받아들이지 않은 상황에서, 특검의 영장 재청구 결과가 향후 수사의 주요 분기점이 될 전망입니다.
또 우선 법원과 주요 쟁점에 대한 판단이 엇갈린 만큼, 막바지에 이른 계엄 국무회의 관련 수사도 속도 조절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YTN 권준수입니다.
영상편집 : 문지환
디자인 : 정하림
YTN 권준수 (kjs81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