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넘게 '국민 납치' 했는데...정부, 허겁지겁 캄보디아 급파

2년 넘게 '국민 납치' 했는데...정부, 허겁지겁 캄보디아 급파

2025.10.15. 오후 9:4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캄보디아 내 한인 납치·감금, 2023년부터 급증
"매달 구조 요청 수십 건"…현지 인력 턱없이 부족
’적극 조치’ 공언했지만…"필요 적다"며 증원 무산
AD
[앵커]
캄보디아 납치 감금 사태의 경고등은 이미 2년 전부터 울리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관계 당국의 외면 속에 범죄 피해는 빠르게 불어났고, 대학생이 고문당해 숨지고 나서야 정부의 대응은 본격화됐습니다.

부장원 기자입니다.

[기자]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겨냥한 납치와 감금이 급증한 건 지난 2023년 무렵입니다.

[오창수 /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선교사 : 그런데 작년, 재작년부터 갑자기 한국의 젊은 친구들이 저한테 구조 요청 전화가 굉장히 많이 오더라고요.]

매달 구조 요청만 수십 건에 이를 정도로 피해가 급증했지만, 여기에 대응하기엔 현지 우리 경찰 인력이 턱없이 부족했습니다.

[박호정 / 한인구조단 팀장(지난 14일) : 대사관에서도 이분들을 굉장히 적극적으로 도와주시고 있는데 물리적인 인원이 충분하지가 않고….]

애초 1명에 불과했던 경찰 영사는 지난해 10월과 지난달에 걸쳐 한 명씩 늘었을 뿐입니다.

이미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도 관련 경고가 나왔고,

[김상훈 / 국민의힘 의원(지난해 10월) : 캄보디아 경찰 내에 코리안데스크를 설치하고 경찰 주재관 대응 인력을 증원 파견할 필요가 있다.]

[방기선 / 당시 국무조정실장(지난해 10월) : 대책을 마련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당시 윤석열 정부도 적극적인 조치를 공언했지만 달라진 건 없었습니다.

외교부의 경찰 주재관 증원 요청마저 필요성이 적다는 이유로 묵살됐습니다.

[양부남 / 더불어민주당 의원(어제 행안위) : (공무원 정원을) 동결하다 보니까 이걸 증원해주지 않았지요.]

[윤호중 / 행정안전부 장관(어제 행안위) : 올해도 증원 요청이 있어서 증원 요청에 적극 응할 계획입니다.]

정부가 사실상 손을 놓은 사이 실종자 가족들은 온라인 채팅방에서 도움을 호소하거나 교민사회와 민간단체에 구조방법을 수소문해야 했습니다.

경찰 신고에도 해외 실종 사건은 수사권이 없다는 답변이 반복됐고 최근까지 관련 통계조차 없었습니다.

결국, 20대 대학생이 고문 끝에 숨지고 두 달이 넘게 시신조차 돌려받지 못하는 비극적인 일이 벌어진 뒤에야 정부는 현지에 대응팀을 급파했습니다.

[위성락 / 국가안보실장 : 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적극 단속을 하고 피해자가 있으면 신속히 구출하는 노력을 계속해 나가고자 합니다.]

여론이 들끓고 대통령까지 나서서 총력 대응을 주문한 만큼, 늦었지만 남아 있는 피해자들이 무사히 송환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YTN 부장원입니다.


영상편집 : 이자은


YTN 부장원 (boojw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