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 브리핑] 치매 판정 뒤 운전 적성검사 95%가 통과, 계속 운전대 잡아

[스타트 브리핑] 치매 판정 뒤 운전 적성검사 95%가 통과, 계속 운전대 잡아

2025.09.29. 오전 06:3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9월 29일 월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먼저 동아일보입니다.

전체 치매 환자 100명 중 6명은 운전면허를 유지하고 있는 거로 나타났습니다.

문제는 그중 95%가 운전 적성검사를 통과해 계속 운전대를 잡고 있다는 점입니다.

작년에 운전 적성검사를 받은 치매 환자는1,235명인데 불합격자는 단 58명. 5%도 안 됩니다.

10명 중 9명 이상은 사실상 면허를 유지한셈입니다.

적성검사 절차는 전문의 진단서를 내고, 증상과 운전 필요성에 대해 답하는 식으로 진행되는데요.

이런 현 제도가 지나치게 관대해서 치매 환자들의 운전 사고 위험이 크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치매는 초기 단계부터 인지 기능이 떨어져서길을 잃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죠. 작년 말 서울 깨비시장에서 자동차가 가게를 들이받아 1명이 숨졌던 교통사고 기억하실 겁니다.

이 사고를 낸 74살 운전자도 사고 직후 초기 치매 진단을 받은 거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본인이 직접 운전이 가능한지 주행 평가를 실시하고, 인지 기능 검사도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전체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자중 67%는 노인이라고 합니다.

보행 사망자 920명 중 65세 이상이 616명이나 됐는데 이 내용은 중앙일보가 정리했습니다.

특히 길을 건너다가 발생하는 교통사고 사망자가 전체 고령 보행 사망자의 56%로 절반 이상입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횡단보도 외 사고, 즉 무단횡단 사망자가 많았습니다.

어르신들은 걸음이 느린 편인데 상황 판단도 늦어지다 보니 사고가 자주 납니다.

이에 한국교통안전공단은 고령 보행자 사상자가 많은 지역을 추려서 안심동맹마을로 지정했습니다.

우회전 시 일시멈춤 표지판과 무단횡단 금지 펜스를 설치하는 등 개선 사업을 진행 중입니다.

고령자에 맞춰서 교통체계를 개선하는 것도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우리 모두의 안전을 위해 무단횡단은 절대 금물입니다.

이어서 조선일보 보겠습니다.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전세 매물 씨가 말랐다는 내용을 다뤘습니다.

가을 이사철을 맞아 전세를 찾는 사람은 늘지만 매물은 점점 줄고 있습니다.

어제 기준 서울의 전세 매물은 2만 4000여 건. 6.27 부동산 대출 규제 직후와 비교해도 줄었고, 올해 1월과 비교하면 18% 넘게 감소했습니다.

특히 성북과 관악, 중랑, 강북 등 중저가 아파트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매물이 빠르게 줄어들었습니다.

매물 씨가 마르다 보니 부르는 게 값입니다.

이번 달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6억 5,431만 원. 2022년 11월 이후 최고 수준입니다.

전세를 낀 매매, 갭 투자가 6.27 규제로 제한되면서 매물 감소폭은 커지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신혼부부 같은 실수요자들은 발을 동동 구르는 상황이고요.

올 하반기뿐 아니라 내년에도 전세 물량이줄어들 거로 보입니다.

전세의 월세화에 속도가 붙고 공급 물량까지부족해지면서 전세 대란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끝으로 서울신문입니다.

카카오톡 업데이트되고 불편한 분들 많으시죠?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이 쏟아지자결국 카카오가 친구탭과 숏폼을 개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무려 15년 만의 대개편이었지만 반응은 처참합니다.

전화번호부 형식에서 인스타그램 피드처럼바뀐 친구탭이 불만의 중심에 있는데요.

굳이 보고 싶지 않은 사람들의 정보까지 강제로 봐야 하는 겁니다.

숏폼을 전면 배치한 걸 두고도 '억지 확장'이라는 지적이 많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를 두고 "단순 기능 개편을넘어 카카오톡의 정체성이 사라졌다"는 반응도 있습니다.

앱스토어에는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오는 중이고요.

이렇게 여론이 심상치 않자 결국 카카오는이번 주 초에 개선 방안을 내놓을 예정입니다.

카카오 주가도 급락했습니다.

지난 23일부터 26일까지 3조 원 이상의 시가총액이 증발했는데 관련 내용은 잠시 후 3부에서 전문가와 자세히 다뤄드릴 예정입니다.

9월 29일 아침 신문 살펴봤습니다.

지금까지 스타트 브리핑이었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