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 연합뉴스
AD
연세대 신촌캠퍼스에서 30대로 추정되는 남성이 특정 교수를 대상으로 테러 공격을 예고했다는 신고가 접수돼 보안업체가 긴급 출동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국민일보는 17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본부가 이달 초 일부 교수를 대상으로 외부인 침입 경고 문자를 발송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지난 3일 캠퍼스 내에서 남성 A씨가 일부 학생들에게 연희관의 위치를 물은 뒤 "정치외교학과 진보 교수를 공격하러 간다"는 말을 남겼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연희관은 사회과학대학 건물로, 정치외교학과 교수 연구실이 모여 있는 공간이다. 당시 A씨는 흰색 상의에 검은색 가방을 소지한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학교 측은 즉시 보안업체에 신고하고 순찰 강화와 폐쇄회로(CC)TV 점검을 실시했다. 다행히 실제 공격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경찰에 별도로 사건을 접수하지는 않았다.
연세대에서는 과거에도 유사한 사건이 이어져 캠퍼스 안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돼 왔다.
2023년에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교수에 대한 불만으로 캠퍼스에 폭발물이 담긴 텀블러를 배송했다"는 글이 올라와 한밤중 학생들이 긴급 대피하는 일이 있었고, 2017년에는 논문 문제로 앙심을 품은 대학원생이 제작한 사제 폭발물이 터져 지도 교수가 부상을 입기도 했다.
연세대 관계자는 "(교수에 대한) 공격 예고 사건 이후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민일보는 17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본부가 이달 초 일부 교수를 대상으로 외부인 침입 경고 문자를 발송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지난 3일 캠퍼스 내에서 남성 A씨가 일부 학생들에게 연희관의 위치를 물은 뒤 "정치외교학과 진보 교수를 공격하러 간다"는 말을 남겼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연희관은 사회과학대학 건물로, 정치외교학과 교수 연구실이 모여 있는 공간이다. 당시 A씨는 흰색 상의에 검은색 가방을 소지한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학교 측은 즉시 보안업체에 신고하고 순찰 강화와 폐쇄회로(CC)TV 점검을 실시했다. 다행히 실제 공격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경찰에 별도로 사건을 접수하지는 않았다.
연세대에서는 과거에도 유사한 사건이 이어져 캠퍼스 안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돼 왔다.
2023년에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교수에 대한 불만으로 캠퍼스에 폭발물이 담긴 텀블러를 배송했다"는 글이 올라와 한밤중 학생들이 긴급 대피하는 일이 있었고, 2017년에는 논문 문제로 앙심을 품은 대학원생이 제작한 사제 폭발물이 터져 지도 교수가 부상을 입기도 했다.
연세대 관계자는 "(교수에 대한) 공격 예고 사건 이후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