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 연합뉴스
AD
서울시가 개강을 맞아 대학가 주변에서 확산하는 '던지기' 마약 유통을 차단하기 위한 전방위 대책에 돌입했다.
서울시는 오늘(26일)부터 다음 달 30일까지를 '마약 집중 점검 기간'으로 정하고, 자치구·경찰·대학과 협력해 현장 점검과 예방 활동을 동시에 추진한다고 밝혔다.
'던지기'는 판매자가 마약을 특정 장소에 미리 숨겨두고 구매자에게 좌표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청년층 생활권에 빠르게 퍼지고 있는 신종 유통 수법이다. 주요 은닉처는 접근과 위장이 좋은 에어컨 실외기, 계량기함, 화단, 전신주, 전기차단기 등이다.
서울시와 동대문경찰서, 동대문보건소 등으로 구성된 15명의 점검반은 이날 오전 한국외대 인근에서 마약 은닉이 의심되는 시설물을 집중적으로 살폈다.
서울시는 점검 범위를 마포구 홍익대, 동작구 중앙대, 광진구 건국대 등 주요 대학가로 확대할 예정이다.
온라인 유통망 차단도 강화한다. 서울시는 지난 4~6일 특정 플랫폼을 조사해 마약 판매 게시글 162건을 적발했으며, 이 가운데 76%가 마약 명칭을 직접 사용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글로벌 플랫폼에 최소한 마약류 명칭이 포함된 게시물이라도 선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달라고 요구하고, 별도의 제보 창구를 통해 시민 신고도 받고 있다.
예방 활동 역시 병행한다.
서울시는 '마약 예방 캠페인 키트'를 10개 자치구에 배포하고, 한국외대·연세대·성신여대 등 대학 축제 현장에서 캠페인을 펼칠 예정이다.
또 버추얼 아이돌 그룹 '플레이브'와 협업한 마약 예방 영상을 도심 전광판에 송출하고, 참여형 온라인 챌린지를 열어 시민들이 직접 캠페인에 동참하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강진용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장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마약 은닉 수법의 위험성을 알리고 경각심을 높이는 예방 효과도 거두고자 한다"며 "오프라인 유통을 뿌리부터 억제하고, 동시에 온라인 불법 광고에 대해서도 철저한 차단 대책을 병행하겠다"고 강조했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서울시는 오늘(26일)부터 다음 달 30일까지를 '마약 집중 점검 기간'으로 정하고, 자치구·경찰·대학과 협력해 현장 점검과 예방 활동을 동시에 추진한다고 밝혔다.
'던지기'는 판매자가 마약을 특정 장소에 미리 숨겨두고 구매자에게 좌표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청년층 생활권에 빠르게 퍼지고 있는 신종 유통 수법이다. 주요 은닉처는 접근과 위장이 좋은 에어컨 실외기, 계량기함, 화단, 전신주, 전기차단기 등이다.
서울시와 동대문경찰서, 동대문보건소 등으로 구성된 15명의 점검반은 이날 오전 한국외대 인근에서 마약 은닉이 의심되는 시설물을 집중적으로 살폈다.
서울시는 점검 범위를 마포구 홍익대, 동작구 중앙대, 광진구 건국대 등 주요 대학가로 확대할 예정이다.
온라인 유통망 차단도 강화한다. 서울시는 지난 4~6일 특정 플랫폼을 조사해 마약 판매 게시글 162건을 적발했으며, 이 가운데 76%가 마약 명칭을 직접 사용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글로벌 플랫폼에 최소한 마약류 명칭이 포함된 게시물이라도 선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달라고 요구하고, 별도의 제보 창구를 통해 시민 신고도 받고 있다.
예방 활동 역시 병행한다.
서울시는 '마약 예방 캠페인 키트'를 10개 자치구에 배포하고, 한국외대·연세대·성신여대 등 대학 축제 현장에서 캠페인을 펼칠 예정이다.
또 버추얼 아이돌 그룹 '플레이브'와 협업한 마약 예방 영상을 도심 전광판에 송출하고, 참여형 온라인 챌린지를 열어 시민들이 직접 캠페인에 동참하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강진용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장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마약 은닉 수법의 위험성을 알리고 경각심을 높이는 예방 효과도 거두고자 한다"며 "오프라인 유통을 뿌리부터 억제하고, 동시에 온라인 불법 광고에 대해서도 철저한 차단 대책을 병행하겠다"고 강조했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