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시의회 제공
AD
서울시가 양성평등 문화 확산을 위해 소관 시설 내 '유모차' 보관소 명칭을 '유아차'로 변경했다.
14일 서울특별시의회 여성가족정책실은 소관 시설에 설치됐던 '유모차' 보관소의 명칭을 보다 성평등한 용어인 '유아차' 보관소로 변경·시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1월 제321회 정례회 보관복지위 행정사무감사에서 이소라 시의원이 '성평등 언어사전에 따른 평등 용어 사용 및 시정'을 주문한 데 따른 조치다.
당시 여성가족정책실에서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주요 시설에 설치된 유아차 보관소(분소 포함 총 118개소)는 모두 '유모차'로 표기돼 있었다. 이후 이 시의원은 총 4차례에 걸쳐 변경 현황을 제출받고 모든 보관소 명칭이 '유아차'로 바뀐 것을 확인했다.
이 시의원은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적했던 사항들을 빠른 시일 내 적극 시정해 준 데 대해 환영한다"면서도 "이미 유아차는 성별 상관없이 양육자들이 사용 중이며, 양육에 있어서도 남녀의 기대 역할은 과거보다 훨씬 평등해졌음에도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현실을 반영조차 못 했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남녀 편가르기, 젠더 갈등, 혐오와 차별로 시름하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지금, 공공기관에서부터 양성평등한 언어의 사용은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사회의 시작이 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YTN digital 서미량 (tjalfid@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4일 서울특별시의회 여성가족정책실은 소관 시설에 설치됐던 '유모차' 보관소의 명칭을 보다 성평등한 용어인 '유아차' 보관소로 변경·시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1월 제321회 정례회 보관복지위 행정사무감사에서 이소라 시의원이 '성평등 언어사전에 따른 평등 용어 사용 및 시정'을 주문한 데 따른 조치다.
당시 여성가족정책실에서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주요 시설에 설치된 유아차 보관소(분소 포함 총 118개소)는 모두 '유모차'로 표기돼 있었다. 이후 이 시의원은 총 4차례에 걸쳐 변경 현황을 제출받고 모든 보관소 명칭이 '유아차'로 바뀐 것을 확인했다.
이 시의원은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적했던 사항들을 빠른 시일 내 적극 시정해 준 데 대해 환영한다"면서도 "이미 유아차는 성별 상관없이 양육자들이 사용 중이며, 양육에 있어서도 남녀의 기대 역할은 과거보다 훨씬 평등해졌음에도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현실을 반영조차 못 했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남녀 편가르기, 젠더 갈등, 혐오와 차별로 시름하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지금, 공공기관에서부터 양성평등한 언어의 사용은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사회의 시작이 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YTN digital 서미량 (tjalfid@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