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YTN 보도 화면
AD
한문일 무신사 대표가 최근 어린이집 설치를 둘러싸고 발생한 논란에 대해 사과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한 대표는 11일 오전 전 직원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회사 경영진을 대표해 불필요한 우려를 만든 점 깊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비가 온 뒤에 땅이 더 단단해지듯이 이번 일을 슬기롭게 해결해 무신사 임직원들이 다시 회사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 일할 수 있는 계기로 만들 것을 약속드린다”고 덧붙였다.
앞서 무신사 측은 근무제도 변경과 관련한 온라인 미팅에서 최영준 재무최고책임자(CFO)가 어린이집 설치와 관련해 “벌금을 내는 것이 더 싸다”는 취지로 발언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었다.
현행 영유아보육법에 따르면 상시 여성 근로자 300명 이상, 상시근로자 500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은 직장어린이집을 설치해야 한다. 직장어린이집을 단독으로 설치할 수 없으면 공동으로 운영하거나 지역 어린이집과 위탁 계약을 맺고 근로자의 자녀 보육을 지원해야 하며 이를 어기면 이행 강제금을 내야 한다.
이에 따르면 무신사는 현지 직원이 1,500여명이며 여성 직원 비율은 55%로 현행법상 어린이집 설치 대상에 해당한다. 때문에 서울 성수동에 건립 중인 신사옥에 어린이집을 만들기로 했으나 실수요자가 적다는 이유로 백지화 했다.
무신사는 이와 관련해 오는 18일부터 위탁 보육을 지원하고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지원방안을 찾아 실천할 것이라고 밝히고 재택 근무 폐지 논란에 대해서도 현행 방식을 유지하되 견제 상황, 대내외 여건을 고려해 근무 형태를 고민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에 오전 4시간만 근무하고 퇴근하는 '얼리 프라이데이' 제도도 그대로 운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YTN digital 곽현수 (abroad@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한 대표는 11일 오전 전 직원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회사 경영진을 대표해 불필요한 우려를 만든 점 깊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비가 온 뒤에 땅이 더 단단해지듯이 이번 일을 슬기롭게 해결해 무신사 임직원들이 다시 회사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 일할 수 있는 계기로 만들 것을 약속드린다”고 덧붙였다.
앞서 무신사 측은 근무제도 변경과 관련한 온라인 미팅에서 최영준 재무최고책임자(CFO)가 어린이집 설치와 관련해 “벌금을 내는 것이 더 싸다”는 취지로 발언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었다.
현행 영유아보육법에 따르면 상시 여성 근로자 300명 이상, 상시근로자 500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은 직장어린이집을 설치해야 한다. 직장어린이집을 단독으로 설치할 수 없으면 공동으로 운영하거나 지역 어린이집과 위탁 계약을 맺고 근로자의 자녀 보육을 지원해야 하며 이를 어기면 이행 강제금을 내야 한다.
이에 따르면 무신사는 현지 직원이 1,500여명이며 여성 직원 비율은 55%로 현행법상 어린이집 설치 대상에 해당한다. 때문에 서울 성수동에 건립 중인 신사옥에 어린이집을 만들기로 했으나 실수요자가 적다는 이유로 백지화 했다.
무신사는 이와 관련해 오는 18일부터 위탁 보육을 지원하고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지원방안을 찾아 실천할 것이라고 밝히고 재택 근무 폐지 논란에 대해서도 현행 방식을 유지하되 견제 상황, 대내외 여건을 고려해 근무 형태를 고민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에 오전 4시간만 근무하고 퇴근하는 '얼리 프라이데이' 제도도 그대로 운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YTN digital 곽현수 (abroad@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