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시민단체가 지난 2022년 8월 서울 관악구와 동작구 반지하에 살던 거주민이 폭우로 숨진 지 3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정부와 서울시의 대책은 미흡하다며 비판했습니다.
참여연대 등은 오늘(6일) 반지하 폭우참사 3주기를 맞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후 재난 취약계층을 위한 주거대책을 마련을 촉구하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들은 서울시가 반지하 주택을 없애겠다고 선언했지만, 지난 3년간 반지하주택 매입 호수는 790여 호에 불과했고, 정부와 서울시 지원으로 반지하를 벗어난 가구는 서울시 전체 반지하 가구의 약 3%에 불과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와 서울시에 장기공공임대주택을 확충하고 주거 환경 불평등을 키우는 재개발과 재건축 등의 규제 완화를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YTN 윤태인 (ytae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참여연대 등은 오늘(6일) 반지하 폭우참사 3주기를 맞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후 재난 취약계층을 위한 주거대책을 마련을 촉구하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들은 서울시가 반지하 주택을 없애겠다고 선언했지만, 지난 3년간 반지하주택 매입 호수는 790여 호에 불과했고, 정부와 서울시 지원으로 반지하를 벗어난 가구는 서울시 전체 반지하 가구의 약 3%에 불과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와 서울시에 장기공공임대주택을 확충하고 주거 환경 불평등을 키우는 재개발과 재건축 등의 규제 완화를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YTN 윤태인 (ytae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