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연합뉴스
AD
바나나를 먹다가 딱딱한 이물질이 목에 걸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9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경남에 사는 A(48) 씨는 지난달 23일 오후 9시 30분 편의점에서 바나나 한 송이를 구입해 먹던 중 딱딱한 이물질이 목에 걸리며 호흡 곤란을 겪었다.
이후 그는 허리를 구부려 헛기침과 구토를 해 목에 걸린 이물질을 밖으로 빼냈다. A 씨는 뱉어낸 이물질이 어지간한 힘을 줘도 부러지지 않을 정도로 단단했으며 길이 3cm, 넓이 1cm에 달했다고 전했다.
A 씨는 이 같은 피해를 보고 바나나를 수입·판매한 업체에 이물질의 정체가 무엇인지를 문의했다. 확인 결과 바나나에서 나온 이물질은 씨앗이 아니라 상온에서 익어가는 과정에서 바나나 일부가 딱딱하게 굳은 것으로 추정됐다.
한편 이 업체의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이런 일이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리가 판매하는 바나나는 씨가 없는 품종이다. 사내 품질팀에서 분석해 보니 바나나를 상온에 보관하면 노랗게 익어가는데 그 과정에서 바나나가 마른 결과로 판단됐다"고 설명했다.
YTN digital 곽현수 (abroad@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9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경남에 사는 A(48) 씨는 지난달 23일 오후 9시 30분 편의점에서 바나나 한 송이를 구입해 먹던 중 딱딱한 이물질이 목에 걸리며 호흡 곤란을 겪었다.
이후 그는 허리를 구부려 헛기침과 구토를 해 목에 걸린 이물질을 밖으로 빼냈다. A 씨는 뱉어낸 이물질이 어지간한 힘을 줘도 부러지지 않을 정도로 단단했으며 길이 3cm, 넓이 1cm에 달했다고 전했다.
A 씨는 이 같은 피해를 보고 바나나를 수입·판매한 업체에 이물질의 정체가 무엇인지를 문의했다. 확인 결과 바나나에서 나온 이물질은 씨앗이 아니라 상온에서 익어가는 과정에서 바나나 일부가 딱딱하게 굳은 것으로 추정됐다.
한편 이 업체의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이런 일이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리가 판매하는 바나나는 씨가 없는 품종이다. 사내 품질팀에서 분석해 보니 바나나를 상온에 보관하면 노랗게 익어가는데 그 과정에서 바나나가 마른 결과로 판단됐다"고 설명했다.
YTN digital 곽현수 (abroad@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