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지리산 천왕봉과 설악산 대청봉 등 많은 탐방객이 일시에 몰릴 수 있는 국립공원 정상부에 안전관리 인력이 배치됩니다.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정상부 87곳에 지난 5일부터 공단 직원과 자원봉사자를 배치해 탐방객이 몰리지 않도록 분산시키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안전인력 배치는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시행된 조처로 다음 달 9일까지 이뤄집니다.
통상 12월 초를 넘어가면 탐방객이 크게 줄어드는 점을 고려했습니다.
국립공원공단은 다음 달 9일까지 국립공원 내 야영장 등 다중이용시설 5천353곳과 급경사지 등 재난취약지구 853곳의 안전 점검도 실시합니다.
또 이번 안전점검과 함께 자동심장충격기 등 국립공원에 설치된 구조장비 만1천320점에 대한 점검도 이뤄질 예정입니다.
YTN 최명신 (mscho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정상부 87곳에 지난 5일부터 공단 직원과 자원봉사자를 배치해 탐방객이 몰리지 않도록 분산시키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안전인력 배치는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시행된 조처로 다음 달 9일까지 이뤄집니다.
통상 12월 초를 넘어가면 탐방객이 크게 줄어드는 점을 고려했습니다.
국립공원공단은 다음 달 9일까지 국립공원 내 야영장 등 다중이용시설 5천353곳과 급경사지 등 재난취약지구 853곳의 안전 점검도 실시합니다.
또 이번 안전점검과 함께 자동심장충격기 등 국립공원에 설치된 구조장비 만1천320점에 대한 점검도 이뤄질 예정입니다.
YTN 최명신 (mscho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