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에 200㎜ '물 폭탄'...오늘 또 수도권 올라온다

충청권에 200㎜ '물 폭탄'...오늘 또 수도권 올라온다

2022.08.11. 오전 05:0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진행 : 나경철 앵커, 유다원 앵커
■ 출연 : 김승배 / 한국기상산업협회 본부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굿모닝 와이티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밤사이 경기 남부와 충청권을 중심으로 강한 비가 내렸는데요. 강원도 영서 지역에도 호우주의보가 발령돼 산사태나 낙석 등 추가 피해가 우려됩니다.

[앵커]
오늘 정체전선이 북상하면서 수도권에 다시 비가 내리고 전국 대부분 지역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는데요.

김승배 한국기상산업협회 본부장 모시고 자세한 기상 상황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앵커]
본부장님, 밤 사이에 중부지방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렸습니다. 일단 현재 호우특보 발령 상황부터 전해 주시죠.

[김승배]
호우특보가 충청도와 경기 남부 쪽에 내려져 있습니다. 충청도 많은 지역이 호우경보가 발령돼 있고요. 강원도 영서, 경기 남부 일부 지방에 호우주의보가 내려져 있습니다. 어젯밤에는 충청도 지방에 한 200mm가 넘는 비가 12시간 강수량 기록을 했거든요.

이게 이 시각 현재는 약간 위쪽으로 올라와서 서울을 비롯한 경기 남부 지방에 강한 비가 내리고 있는데 이렇게 지금 정체전선이 약간 오르락내리락하면서 비가 강하게 내리는 지역이 약간씩 변동이 있습니다.

[앵커]
서울은 어제 비가 소강상태여서 그때 복구작업을 했었는데 다시 새벽부터 비가 와서 수도권에 추가 피해가 있지 않을까 우려되는 상황이네요.

[김승배]
그렇습니다. 그동안 8일부터 계속해서 많은 비가 내렸기 때문에 모든 지반이 다 약해져 있거든요. 그런 상태에서 조금만 더 내리더라도 특히 산간지방은 산사태가 굉장히 위험하고요. 축대 붕괴위험도 그런 상황입니다. 어제 낮에 서울에 파란 하늘을 볼 수 있는 일시 소강상태에 들었는데 계속해서 그게 끝난 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앞으로 오늘부터 이 시간 이후 비교적 정체전선 상에서 발달한 비구름의 폭이 처음에 시작한 8일과 9일보다는 폭이 남북으로 넓어지고 있습니다.

무슨 얘기냐면 당연히 국지적 집중성을 보이는데 그런 강렬한 남쪽 기단과 북쪽 기단의 세력다툼이 팽팽한 힘의 균형을 보이다가 약간씩은 무너지고 있는 그런 상황입니다. 그런데 이 정체전선 영향으로 내리는 호우 상황이 금방 오늘 내일 끝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앵커]
그나마 약해졌다는 말씀이시죠.

[김승배]
그렇습니다.

[앵커]
이번 폭우 특징을 보니까 서울에서도 지역별로 굉장히 강도가 다른 모습을 보였거든요. 그 이유가 어디에 있을까요?

[김승배]
이번 비를 내리게 한 원인이 마치 6월 하순에서 7월 하순 사이에 있는 초여름의 전형적인 장마 현상과 유사하거든요. 이게 8월 하순부터 9월 상순 사이에 나타나던 게 올해 약 한 달 정도 빨리 나타났거든요. 이런 정체전선에서 내리는 비구름의 특징이 좁은 지역에서 많은 대류셀들이 발달하면서 좁은 지역에 강하게 내린다. 지난번 8일 밤 강남 지역에 비가 내릴 때 불과 몇 킬로미터 떨어지지 않은 도봉구 북쪽은 비가 내리지 않았거든요.

그 정도로 강한 국지성을 보이는데 계속해서 충청도 지방에서도 그렇고 오르락내리락하면서 그런 국지적인 집중호우, 지역적인 편차가 큰 그런 강수 특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사실은 원래 우리나라의 여름철에 내리는 강수의 특징이 이런 식으로 좁은 지역에서 많은 비가 내리는 국지적 집중호우성을 원래 보였는데 그게 더 강해지고 더 심화됐다고 봅니다.

[앵커]
정체전선이 원래는 더 남하할 것으로 예측했는데 생각보다 속도는 느린 것 같더라고요. 이렇게 오래 정체전선이 머무는 이유는 뭘까요?

[김승배]
남쪽 북태평양고기압 세력이 쉽게 약해지지 않고 있거든요. 북쪽에서 내려온 차고 건조한 공기와 남쪽의 고온다습한 공기세력이 지금 팽팽하게 힘의 균형을 우리 한반도에서 이루고 있는데 어제는 약간 내려갔었죠, 북쪽 건조한 공기 세력의 힘이 강해서 서울 하늘이 파란 하늘을 보였거든요. 그게 또다시 물결이 출렁거리듯이 북태평양 고기압 세력이 조금 치고 올라오니까 그게 오늘 새벽 들어서는 또 서울, 경기 남부에 이 시간 현재는 그쪽에 강한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앵커]
결국에 치고 올라왔다고 하셨는데 향후에 그러면 정체전선 이동경로는 어느 쪽으로 예상을 하시나요?

[김승배]
이게 북한 쪽으로 과연 갈 것이냐 이게 우리나라를 벗어나는 건데 그러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 서울, 경기 남부에 비를 뿌리다가 오늘 오후나 내일부터는 또 다시 내려가서 거의 지금 제일 비를 기다리고 있는 건 경상북도 내륙 지방이거든요. 거기는 수심까지 보이는데 그래서 이게 어쨌든 많은 양은 아니지만 이번 정체전선 영향으로 경상도 쪽으로도 비가 약간 올 것 같아요. 그래서 앞으로 이 시간 이후는 오늘 서울, 경기 또 충청도 지방에 내리다가 점차 내일모레는 전라도, 경상도까지 남하하는 그런 현상을 보일 거고 제주도는 이번 기간 중에 전혀 비가 오지 않는 그런 지역이 될 것 같아요. 그러니까 무슨 얘기냐면 정체전선이 밑으로 제주도까지 내려가지 않는다. 이렇게 전망됩니다.

[앵커]
그럼 다음 주에도 국지적으로 집중호우가 쏟아질 가능성도 있는 건가요?

[김승배]
그렇습니다. 정체전선의 영향을 받는 다음 주까지도 시작 단계인 8일과 9일처럼 아주 집중성을 보이지는 않겠지만 많은 양은 아니겠지만 그러나 앞으로도 하루에 200mm 정도의 비는 계속해서 내릴 가능성이 적어도 다음 주까지. 이번에 내일 정도에 조금 남쪽으로 내려갔다가 15일과 16일경 다시 올아오면서 서울, 경기, 강원 영서 또 중부지방에 내릴 거거든요. 그러다 또 내려가면서 경상도와 전라도까지 영향을 주니까 하여간 이번 비가 한 17일 정도까지. 그러다가 또 2~3일 소강상태에 들다가 19일, 20일까지 또다시 또다시 서울, 경기 중부지방까지 이어지니까 어쨌든 꽤 오래 간다 이렇게 예상됩니다.

[앵커]
이 정도로 오래 가는 걸 봐서는 굉장히 장마와 유사한 그런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 같은데 그런데 이번 폭우를 장마로 분류하지는 않더라고요. 이유가 어디 있을까요?

[김승배]
기상학적인 장마가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면서 남쪽 북태평양고기압 그러니까 따뜻한 공기 덩어리들이 북쪽으로 겨울 끝나고 봄을 지나면서 남쪽의 뜨거운 공기가 점점 북쪽으로 올라가거든요. 계절에 따라서 바람이 바뀌는 것. 이걸 몬순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남쪽에서 뜨거운 공기들이 올라가면서 정체전선이 만들어진 게 초여름의 전형적인 장마고요.

지금은 그 장마가 지난 7월 하순에 끝난 뒤에 고온다습한 공기가 중국 북쪽까지 다 덮어서 폭염과 열대야가 한 보름 정도 이어졌거든요. 이렇게 굉장히 고온다습한 공기 에너지가 비의 원료가 쌓여 있는 상태에서 북쪽에서 차고 건조한 공기가 내려오면서 그걸 격발시킨 거죠. 그러면서 1차 장마처럼 정체전선이 형성되고. 대개 2차 장마 또는 가을장마라고 하는 게 이렇게 오래 가지는 않거든요. 빨리 왔다는 점에서 이례적이고 또 이렇게 다음 주까지도 이어지니까 오래 간다는 면에서도 이례적인데 이러한 현상을 기후변화의 한 모습이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앵커]
그런데 보통 8월 중순까지 이렇게 오고 나면 말 정도되면 가을 태풍 소식이 있지 않나요? 태풍이 북상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김승배]
그렇습니다. 지금 7호 태풍이 생겼는데 그건 우리나라하고 상관 없이 필리핀 서쪽에 생겨서 중국 남부 하이난성, 베트남 동쪽으로 이동하고 있고요. 우리나라가 여름철에 보면 초여름의 전형적인 장마 시즌. 장마가 끝나면 북태평양고기압에 덮혀 있어서 대기가 불안정한 계절. 또 그 속에서 태풍이 오거든요. 그래서 이번 소위 말하는 2차 장마라고 하는 게 끝나면 본격적인 태풍의 계절이 옵니다. 지금 저 남쪽 태풍이 발생하는 지역에서 보면 위성영상을 통해서 보면 태풍으로 발달할 수 있는 그런 것들이 지금 몽글몽글 피어나고 있거든요.

그래서 끝나더라도 9월까지는 태풍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1년에 한 26.1개 태풍이 발생하는데, 남쪽의 태풍 발생지역에서. 그중의 한 4개 정도가 매년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거든요. 지금 돌이켜 보면 일본 남쪽에서 세력이 약해졌지만 어쨌든 제주도 부근에서 파도가 높았거든요. 그런 것들이 직접 영향을 줬다. 이렇게 판단하거든요. 4~6호 3개가 직간접 영향을 준 태풍으로 기록될 거고요. 앞으로 한두 개는 분명히 9월까지 우리나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앵커]
아까도 언급을 하셨지만 이런 폭우의 원인이 기후변화에 있다고 짚어주셨는데 앞으로도 충분히 또 이런 역대급 재난이 계속해서 발생할 수 있잖아요. 우리가 미리 대비해야 할 점이 어떤 것이 있을까요?

[김승배]
그렇습니다. IPCC라는 국제기구가 매년 보고서를 내는데 앞으로 이런 자연재난을 일으키는 위험기상들이 자주 발생할 것이다. 또 강도가 강해질 것이다 이렇게 전망을 했거든요. 지금 이번 폭우만 보더라도 강도가 강해진 거거든요. 왜냐하면 1시간 강수량 기록을 깬다거나 서울에 하루에 내리는 일일 강수량의 기록을 깬다거나 이런 기록을 깼거든요.

분명히 우리가 기후변화 속에서 살고 있다. 그래서 환경 보호하자, 이런 얘기들을 장기적으로 대비해서 하자고 하는데 앞으로 역시 올여름뿐만 아니라 내년 여름도 그렇고 폭염의 강도가 늘어날 것이고 집중호우 강도도 늘어날 것이다. 태풍이 우리나라까지 접근했는데 약해지지 않고 강한 태풍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게 장기적인 기후변화에 대한 전망입니다.

[앵커]
우리가 기상재난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미리미리 필요할 것 같습니다.

한국기상산업협회 김승배 본부장과 기상 상황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고맙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