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라이더] 때이른 '폭염의 습격' 3명 사망...'온열질환' 예방법은?

[뉴스라이더] 때이른 '폭염의 습격' 3명 사망...'온열질환' 예방법은?

2022.07.05. 오전 09:1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진행 : 안보라 앵커
■ 출연 : 김호중 / 순천향대 응급의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말 그대로 사람잡는 폭염입니다. 온열 질환, 증상은 어떻고대처법은 무엇인지전문가 의견을 들어볼게요. 김호중 순천향대 부천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모셨습니다.

어서 오세요. 교수님, 오시는데 덥지 않으셨습니까?

[김호중]
아침에는 조금 나은 것 같아요. 그래도 약간 겉옷을 입게 되면 많이 후텁지근한 그런 양상의 날씨인 것 같습니다.

[앵커]
이렇게 푹푹 찌는 날씨에 긴소매 옷을 입는 게 그렇게 좋지는 않은 거죠?

[김호중]
오늘 방송 때문에 이렇게 입고 왔는데 사실은 좀 벗고 싶은 게 솔직한 심정이고 좀 가볍게 입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앵커]
저희가 풀어봤는데 내용은 심각합니다.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7월 들어서만 벌써 3명이에요. 이게 온열질환이라는 게 이렇게 위험한 겁니까?

[김호중]
우리가 조금 여름이라는 것에 대한 낭만만 있는 것 같아요, 사실은. 일단 질환이 생길 거라는 것에 대한 경각심은 조금 부족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고 그에 비해서 우리가 햇빛에 나가 보면 실제로 이게 굉장히 따갑구나, 너무 덥구나라는 생각을 많이 갖게 되는데 사실은 이런 경각심이 좀 필요한 시기가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앵커]
저희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를 해 봤더니 벌써 3배 가까이나 증가했더라고요. 그러니까 5월 20일부터 7월 3일까지 올해하고 지난해를 비교해 봤더니. 실제로 환자들은 어떤가요? 병원에 많이 오시나요?

[김호중]
많이 오시고요. 그런데 중요한 건 아마 이런 온열질환자라는 것들에 대한 의료진들도 마찬가지고 환자분들도 내가 온열질환이에요? 이렇게 이야기하시는 분들이 증가했기 때문에 이런 통계수치가 올라가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고요. 또 한 가지는 많이 저희가 아마 에어컨이 있는 곳들이 많다 보니까 온도변화에 대해서 굉장히 민감해졌어요. 그래서 나가서 생긴 활동 중에 생긴 질환들을 온열질환으로 우리가 인식하는 그런 정도가 높아져서 아마 통계수치가 많이 증가한 것 같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환자 연령대는 어떻습니까?

[김호중]
우리가 나이 드신 분들만이 온열질환을 앓을 것이라 생각하는 것은 정말 오산이고 실제로는 젊은 친구들이 활동량이 많다 보니까 이런 온열질환이 많이 생깁니다. 특히나 운동하다가 생기는 질환들이 많기 때문에. 좀 더 심각한 질환들은 사실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많이 급증하는 것 같습니다.

[앵커]
운동하다가. 요즘에는 특히 코로나 때문에 실내에서는 잘하지 않고 바깥으로 나가서 러닝이나 자전거 타기 이런 것 하시는 분들 많은데 이분들 주의하셔야겠네요.

[김호중]
우리가 생각하는 평소의 루틴이라는 게 참 무서운 건데 루틴을 지킨다고 해서 우리가 가을철, 봄철에 했던 것들을 여름과 겨울에 동일하게 하시는 경우가 있거든요.

그런데 이건 온도 변화에 따라서 본인의 몸 상태를 고려해서 좀 조절하실 필요가 있는데 그걸 그대로 하시다 보면 흘리는 땀이랄지 몸에서 견딜 수 있는 한계치가 있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인해서 이런 온열질환이 많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저희가 자막으로 먼저 나갔는데 부천에서 사망한 온열질환자의 경우는 체온이 거의 42도에 육박했더라고요. 그런데 어제 부천이 최고기온을 몇 도 찍었나 보니까 33도였습니다.

그런데 사망하신 분의 체온이 42라는 게...이게 이렇게 갑자기 오를 수가 있는 건가 이런 생각이 들더라고요.

[김호중]
우리 몸도 사실은 체온을 조절하는 중추가 뇌에 있고요. 체온 조절 중추 자체가 활동을 하면서 몸의 땀구멍 조절하기도 하고 그다음에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서 수분 배출을 통해서 우리가 체온을 조절하게 되는데 어떤 경우에는 또 너무 장시간 지속이 되거나 몸 상태가 일단 의식을 잃을 정도로 심각한 다른 질환이 같 이 동반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사실상 이런 체온 조절을 하는 중추 자체가 역할을 못 하게 되는 상태가 되고 이때는 장시간 지속적인 노출이 되어 있을 때, 특히나 온도가 30도 이상이 되면 고열이거든요.

이런 용도에 계속 노출이 될 경우에는 몸의 체온이 급속도로 상승할 수 있는 그런 소견은 많이 볼 수 있는 소견이 되겠습니다.

[앵커]
체온조절 기능을 아예 잃게 되는 거군요.

[김호중]
맞습니다.

[앵커]
그러면 바깥에 있을 때는 한두 시간에 한 번씩 그늘에 간다든지 하는 게 필요합니까?

[김호중]
반드시 필요하고요. 일단은 우리가 아무리 술 취해서 조금 벤치에서 주무시는 분들 있잖아요. 그렇더라도 몸이 건강하신 분들은 너무 뜨거워서라도 일어나게 되거든요.

그런데 이런 것들을 인지를 못할 정도의 몸상태가 된다거나 이런 분들은 사실상 이런 체온조절 중추의 역할을 아예 상실할 수가 있고 이걸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게 열사병 같은 것들이 발생할 수가 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보통 사람의 체온이 40도만 넘어가도 생명이 위급하다 이런 말을 하잖아요.

[김호중]
이런 걸 사실은 우리가 감기나 이런 열질환이 있을 때도 똑같이 적용하시려고 하는데 사실은 이런 염증이 있을 때하고는 다른 의미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사실은 어머니들이 아이들 데리고 와서 40도 넘기 때문에 너무 위험하다 하시는데 해열제를 충분히 먹거나 해결책을 갖고 있고 또 아이가 충분히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는 조절이 충분히 가능한 거고 그렇지만 이건 어떤 조절 자체를 할 수 없는 상태, 이런 경우에는 사실은 치료나 이런 것들이 즉시 투여되지 않을 경우에는 사망할 수 있는 그런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지금 온열질환에 대해서 얘기를 나누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증상이 어떤지부터 여쭐게요.

[김호중]
사실은 온열질환으로 발생할 수 있는 증상은 굉장히 다양하게 있을 수 있는데 가장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게 어지러움증이랄지 구토 이런 것들. 그다음에 근육 경련 이런 게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앵커]
근육경이라는 게 쥐나고 이런 건가요?

[김호중]
쥐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사실 우리가 축구선수들을 보면 한 후반쯤 됐을 때 굉장히 보이는 증상 중의 하나가 어지러워서 쓰러지는 경우도 있고 그다음에 심하게 토하는 경우.

우리 도쿄올림픽 때 굉장히 더웠던 그 상황에서 선수들이 달리기하고 들어와서 토하고 그다음에 어지러워서 쓰러지는 것들을 보게 되고 그다음에 쥐가 나서 옆에서 마사지를 해 주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런 것들이 대표적인 온열질환에 보일 수 증상인데 실제로는 일상에서는 이런 증상들이 약간 경미하게 나타나다 보니까 응급실에 와서도 내가 이게 온열질환인지 아니면 원래 내가 몸이 안 좋아서 그런 건지 조금 혼돈이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계절에는 이런 증상이 보였을 때는 내가 온열질환이 아닌지에 대해서 반드시 좀 체크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앵커]
의심을 하고 그럼 병원으로 바로 가야 됩니까?

[김호중]
사실은 병원으로 바로 오시는 게 좋겠고 본인이 조절할 수 있을 때는 우리가 예를 들어서 음료랄지 이런 것도 충분히 섭취만 해 줘도 많이 좋아질 수 있거든요. 그래서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 반드시 고려를 하고 야외활동하시는 게 좀 지혜로운 방법이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앵커]
앞서 저희가 증상에 대해서 그래픽으로 보여드렸는데 빠른 맥박과 호흡이라는 증상이 있었거든요. 그런데 호흡이 가빠지면 마비가 오기도 하잖아요. 실제로 온열질환 증상의 하나로 마비도 옵니까?

[김호중]
마비도 오고요. 왜냐하면 호흡이 가빠지게 되면 우리가 과호흡증후군이라는 게 있어요. 그러면 약간 산소가 너무 많이 들어가게 되니까 손발이 오그라들면서 굳게 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래서 이것들은 하나의 증상으로 보기보다는 연관된 증상으로 보실 수가 있겠고 또 하나는 몸에서 수분이 굉장히 부족하게 되면 수분을 일단은 부족하다는 신호를 통해서도 맥박이 빨라지는 그런 것들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같이 예를 들어서 테니스랄지 운동을 하시는 분들 중에 갑자기 맥박이 뛰어서 얼굴이 화끈거리는 경우가 생긴다고 하면 빨리 그 운동을 멈추셔야 되고 이런 분들한테는 급격하게 빨리 수분을 섭취할 수 있는 이온음료라든지 이런 것들을 섭취시키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왜 갑자기 그게 생각납니다. 한여름에 저 어렸을 때 조회하다 보면 교장선생님 말씀 길어지면 친구들 픽픽 쓰러지고 그랬잖아요. 그때 일사병이다 열사병이다 이런 얘기들을 했었는데 그 2개는 다른 건가요?

[김호중]
우리가 열사병이라는 단어는 굉장히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된다. 왜냐하면 일사병은 대충 우리가 정의를 내리자고 한다면 40도 이하의 고열에서 실제로 아까 말씀드린 온열질환의 증상들을 보이는 경우, 이런 경우를 이야기하는데 열사병은 의식 소실을 일단 동반할 수가 있는 겁니다.

그리고 사망까지 이를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사실은 열사병은 조절 중추에 문제가 생기면서 고장이 나서 실제로 일단 우리 몸의 체온을 조절 못하는 상태로 진행이 된 것이기 때문에 이건 굉장히 심각한 상태가 되는 거고 일사병은 우리가 일상에서 보는 온열질환 중에서 가장 증상이 심한 상태, 이렇게 해석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러면 어르신들이 말씀하시는 나 더위먹었다 이런 표현은 일사병에 가까운 건가요?

[김호중]
일사병이죠.

[앵커]
지금 열사병의 경우는 심각하면 목숨까지 위험할 정도로 정신을 잃을 수도 있다는 말씀을 하셨는데 만약에 의식을 잃으면 그 당사자는 모르니까 주위에서 빨리 대처를 해야 되잖아요. 어떤 식으로 응급처치를 해야 됩니까?

[김호중]
저희가 열사병 환자를 응급실에서 치료하다 보면 현장에서는 그렇게까지 못 하고 오시는 분들이 있는데 우리가 수액 자체도 굉장히 차갑게 얼려 있는 수액 또는 냉장고에 보관돼 있는, 그러니까 온도가 36도보다 조금 더 떨어져 있는 그런 수액들이 여름 같은 경우에는 보관이 되어 있는데 이런 것들을 통해서 정맥 주입을 하게 되고 그다음에 피부에도 최대한 일단은 시원한 물이 적셔져 있는 그런 수건이나 이런 것들로 덮어서 그리고 거기에다가 바람을 일으킬 수 있는 선풍기나 이런 것을 이용해서 증발을 유발시키는 방법들을 사용하게 되고요.

그다음에 의식 소실이 있을 때는 기본적으로 하는 기도 확보랄지 산소 공급 이런 것들을 같이 병행해서 진행을 하는 그런 치료를 시행합니다.

[앵커]
일단 제 눈앞에서 사람이 쓰러지면 당장 제가 취할 수 있는 조치가 먼저 119에 신고한다. 그리고 두 번째는 일단 의식이 없으니까 뭔가 CPR처럼 심폐소생술 같은 것을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해도 되는 겁니까?

[김호중]
일단 부천의 케이스도 마찬가지인데 처음에는 환자분이 호흡이 있었다고 119 대원들이 이야기한 걸로 알고 있는데 중요한 건 일단은 더위를 피하게 해 주는 게 우선입니다. 그래서 가능한 한 그늘로 옮기는 게 중요하겠다.

이분 같은 경우도 아마 뙤약볕 하에서 계속 계셨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래서 일단은 햇볕 자체를 좀 피하게 하는 게 좋겠고 그다음에 가능한 한 물 같은 것들을 피부에 끼얹어서 체온을 떨어뜨리는 시도를 해 보는 게 좋겠는데.

[앵커]
옷을 벗기는 게 좋습니까?

[김호중]
맞습니다. 그리고 나서 기도확보 등을 해 주시는 게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혹시라도 의식을 잃었는데 혹시나 혀나 이런 것들이 기도를 막아서 질식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만 신경을 써주시면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앵커]
워낙에 지금 폭염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온열질환을 각별히 주의하고자 저희가 교수님 모셔서 얘기 나눴고요. 더 이상 피해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김호중 순천향대 부천병원 응급의학과 교수였습니다. 잘 들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